25일 방콕서 ‘亞성장전략회의’…미래전략 토론
고부가·친환경 鐵제품 판매…수출 280만톤 달성
![정탁(왼쪽) 포스코인터내셔널 부회장이 25일 열린 아시아 성장전략회의에 참석하기 전에 가진 대만 최대급 민간기업인 FHS 창푸닝 회장과의 면담에서 기념품을 전달하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셜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25/SSC_20230525105731_O2.jpg)
![정탁(왼쪽) 포스코인터내셔널 부회장이 25일 열린 아시아 성장전략회의에 참석하기 전에 가진 대만 최대급 민간기업인 FHS 창푸닝 회장과의 면담에서 기념품을 전달하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셜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25/SSC_20230525105731.jpg)
정탁(왼쪽) 포스코인터내셔널 부회장이 25일 열린 아시아 성장전략회의에 참석하기 전에 가진 대만 최대급 민간기업인 FHS 창푸닝 회장과의 면담에서 기념품을 전달하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셜 제공
포스코인터내셔널은 25일 태국 방콕에서 정탁 부회장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 17개의 법인 및 지사·지점 임직원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아시아 성장전략회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아시아 성장전략회의를 개최한 배경은 중국과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지역은 최근 차이나 리크스 확대에도 회사 글로벌 사업부문 트레이딩 실적의 약 32%를 차지하는 중요 지역이기 때문이다.
작년 中철강 수출 4% 감소…亞지역 年31% 성장실제 포스코인터내셔널 철강사업 부문의 작년 중국 수출실적은 전년 대비 약 4% 감소한 14억달러였지만 아시아 지역 수출은 지난 3년간 연평균 31%의 성장세를 보이며 작년 기준 매출 30억달러를 기록하는 등 주요 수출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전쟁, 세계 경기 침체 등 향후 성장 여건이 좋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이번 전략회의를 통해 아시아 내 철강, 에너지, 식량 등 주요 사업을 선제적으로 점검하고 고객 밀착 관리로 수출 확대를 강력히 추진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철강사업은 올해 전체 철강 수출물량 1100만톤중 약 25%에 해당하는 280만톤 이상의 수출목표를 아시아에서 달성키로 했다.
亞, 에너지·식량 사업 거점…신규사업 적극 발굴
![포스코인터내셔널 아시아 사업 현황](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25/SSC_20230525105733_O2.jpg)
![포스코인터내셔널 아시아 사업 현황](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25/SSC_20230525105733.jpg)
포스코인터내셔널 아시아 사업 현황
이와 함께 최근 아시아 내 친환경 움직임에 따라 대체에너지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것을 감안, 태양광·풍력·모빌리티 등 친환경 산업용 강재 마케팅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아시아지역은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에너지사업과 식량사업 핵심 거점이기도 하다. 총 13개 연결대상 법인 가운데 미얀마 가스전, 인도네시아 팜 등 핵심 투자자산을 포함한 6개 투자자산이 아시아에 위치하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풍부한 자원과 노동력을 보유한 아시아에 4차 산업 패러다임 전환기 속 신사업 기회가 많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코로나 19 이후 경제 촉진을 위한 정부 프로젝트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신규 사업을 적극 발굴해 나가기로 했다.
정탁 “무역적자에 전문가집단 책임감 갖고 뛰어야”
![포스코인터내셔널 인도네시아 팜 농장](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25/SSC_20230525114011_O2.jpg)
![포스코인터내셔널 인도네시아 팜 농장](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25/SSC_20230525114011.jpg)
포스코인터내셔널 인도네시아 팜 농장
정탁 부회장은 성장전략회의 강평을 통해 “무역적자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무역전문가 집단인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책임감을 가지고 뛰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성장 잠재력이 가장 큰 아시아 시장 수출확대 방안을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자”고 당부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