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 뚫린 듯’ 집중호우에 고용 시장도 뚫렸다···일용직 근로자 2년만에 최대 감소

‘하늘 뚫린 듯’ 집중호우에 고용 시장도 뚫렸다···일용직 근로자 2년만에 최대 감소

곽소영 기자
곽소영 기자
입력 2023-08-09 18:05
수정 2023-08-09 18: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통계청, 7월 고용동향 발표
취업자 수 증가폭 둔화···청년층 9개월 연속 감소
‘날씨 영향’ 건설업·농림업 많은 일용직 근로자 급감
여성·고령층이 고용률 견인···“보건·복지 수요 많아서”

이미지 확대
7월 취업자 수 및 고용률 추이
7월 취업자 수 및 고용률 추이
지난달 전국을 강타한 집중호우가 고용 시장에도 영향을 미쳤다. 일용직 노동자가 2년 만에 가장 크게 감소했다. 일용직이 많은 농림·어업과 건설업에서의 일자리 감소가 두드러졌다. 상용직 일자리 취업자가 51만 3000명 증가해 역대 최고 수준의 7월 고용률을 기록한 것과 대비되는 결과다.

통계청은 9일 ‘7월 고용동향’을 발표하고 지난달 취업자 수가 2868만 6000명으로 집계돼 1년 전에 비해 21만 1000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5월 35만 1000명, 6월 33만 3000명 등 올해 30~40만명의 증가세를 유지하던 취업자 수가 20만명대로 둔화했다.

취업자 수는 코로나19 시기였던 2021년 3월 이후 29개월째 증가 중이다. 증가 폭은 지난 4월 이후 꾸준히 둔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지난달 임금근로자 중 일용직 일자리의 취업자 수가 98만 4000명을 기록하며 전년대비 18만 8000명이 급감했다. 코로나19로 고용시장이 얼었던 2021년 1월 23만 2000명이 감소한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다.

연령별로는 15~29세의 청년층 취업자가 13만 8000명 감소하며 9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인구 감소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더 크게 받고, 취업자가 줄어든 제조업과 도소매업에 청년층이 많이 종사하는 점 역시 영향을 미쳤다는 게 통계청의 설명이다. 이외에도 경제의 ‘허리’인 40대에서 취업자가 6만 1000명 감소했다.

반면 60세 이상 취업자는 29만 8000명 증가했고 여성 취업자 역시 30대 이상에서 증가해 전체 취업자 수의 증가세를 견인했다. 지난달 15~64세 고용률이 69.6%를 기록해 관련 통계를 작성한 1989년 이후 역대 7월 중 가장 높았는데, 이 역시 고령층과 여성의 고용률이 전체 수치를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세 이상 인구 중 수입이 있는 일을 하거나 구직활동을 한 실업자를 합한 경제활동인구는 2949만 3000명으로 1년 전에 대비 18만 2000명 증가했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진학 준비, 군입대 대기, ‘그냥 쉼’ 등을 포함한 ‘쉬었음’ 인구는 226만 8000명으로 11만 6000명 늘었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전체 인구 구조에서 고령층이 증가하면서 (여성과 고령층이 많이 종사하는) 보건·복지업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늘어나고 있다”며 “경기가 저조한 수출업과 건설업 등의 산업이 앞으로 얼마나 살아나는지에 따라 고용 시장의 상승 전망을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