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비수도권 제조기업, 혁신추진에 거리감”…비수도권 기업, 혁신인프라 부족

무협, “비수도권 제조기업, 혁신추진에 거리감”…비수도권 기업, 혁신인프라 부족

이제훈 기자
이제훈 기자
입력 2023-08-24 11:00
수정 2023-08-24 11: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개회사 하는 정만기 부회장
개회사 하는 정만기 부회장 개회사 하는 정만기 부회장
(서울=연합뉴스) 정만기 한국무역협회 부회장이 7일 서울 강남구 트레이드타워에서 열린 ‘KITA-CII 인도 비즈니스 협력 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2023.7.7 [한국무역협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끝)
국내 기업 절반은 혁신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정작 비수도권과 제조업을 중심으로 혁신 추진에 거리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수도권 기업은 혁신인프라가 부족하다고 생각했다.

한국무역협회는 24일 국내 기업 1021개사를 대상으로 지난 5월31일~6월13일까지 실시한 ‘지역 산업별 혁신·DX 실태 설문 조사’결과, 혁신 생태계 조성에 대해 응답자 절반 이상(58.1%)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우리 산업 전반의 혁신 수준을 5단계(준비 중-도입 시작-적용 중-정착-활발히 진행)로 구분했을 때 응답 기업의 28.6%는 혁신 도입 수준을 ‘적용 중(3단계)’로 평가했다고 소개했다.

무협은 대기업의 경우 지역 내 혁신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39.1%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면서 이는 대기업의 경우 인적·물적 혁신역량을 자체 보유하고 있어 지역 내 혁신 생태계에 대한 의존도가 낮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기업이 체감하는 지역 내 혁신 생태계 수준을 4단계(기초-성장-성숙-완성)로 구분했을 때 응답자의 78.3%가 현재 지역 내 혁신 생태계 수준이 초기(기초·성장) 단계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기업이 체감하는 자사의 혁신 수준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40.4%가 자사의 혁신을 ‘시작은 했으나 진행이 더딘 편’으로 답변했다. 즉 기업 혁신은 초기 단계로 아직 가시적인 성과를 확인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는 것이다.

산업별로도 혁신의 격차가 두드러졌다. 전자·전기, IT·통신·콘텐츠 분야 종사자는 자사가 속한 산업의 혁신 상태를 ‘정착~활발히 진행(4·5단계)’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금속, 석유화학, 섬유·패션 분야는 응답 기업의 절반 이상이 ‘준비 중~도입시작(1·2단계)’에 머물고 있다고 답했다.

기업이 혁신을 추진하는 데에서 느끼는 주요 애로사항은 수도권과 비수도권 소재 기업 모두 공통적으로 ‘자금 부족(49.4%)’을 꼽았으나 비수도권 기업은 ‘수도권 대비 인프라와 정보 부족(39.2%)’을 2순위로 응답해 수도권에 편중된 지원 정책에 대한 애로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가장 기대하는 혁신 지원 정책으로는 ‘지역별 주력 산업 개편 등으로 인한 지자체 및 정부의 추가 지원(43.5%)’을 꼽았다. 특히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지자체 및 정부의 추가적인 지원’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비수도권 기업은 정부 정책을 통해 ‘관심 인구 유치를 통한 지역 내 인력난 해소(21.6%)’와 ‘전후방 밸류 체인을 고려한 패키지형 지원으로 연관 산업 동시 성장(18.7%)’을 기대하는 응답 비율이 수도권(각 13.9%, 16.9%)에 비해 높았다.

기업은 지역의 혁신 성장을 추진하기 위해 필요한 지원으로 자금 지원(46.1%), 인력 지원(9.6%), 정보 제공(9.4%), 인프라 구축(6.1%), 규제 철폐(5.2%)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정만기 한국무역협회 부회장은 “우리나라는 혁신 기업 수나 혁신 기업의 고용에서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면서 “지역 내 효율적 혁신 생태계 조성을 통한 기업별 성공 사례를 적극 발굴하여 세미나, 컨설팅 등을 통하여 확산해 가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