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RA 1년… 상반기에만 58억弗 흑자
리튬 등 수입에 대중 무역은 -51억弗
한국무역협회는 5일 펴낸 ‘미국 IRA 시행 지침이 우리나라 배터리 공급망에 미칠 영향’ 보고서에서 올 상반기 한국의 이차전지 양극재 수출액이 74억 9000만 달러로 지난해 동기보다 6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한국의 양극재 수출은 지난 5년간(2018~2022) 연평균 77.8%의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으며 2022년에는 전년 대비 159.7%의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올 1~6월 한국의 대미 양극재 수출은 12억 4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91.4% 증가했다.
대미 수출 증가는 IRA 시행 이후 국내 배터리 기업의 미국 내 공장 증설이 본격화되면서 더욱 속도가 붙었다. 한국의 전체 양극재 수출 중 대미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도 2021년에는 4.0%에 불과했으나 2022년 11.7%, 2023년 1~6월에는 16.6%로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문제는 양극재 수출이 늘면서 원료가 되는 전구체와 리튬 수입이 증가해 이들 원료의 중국 수입 의존도가 높아져 대중 무역수지도 악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올 상반기 리튬과 전구체 무역 적자는 각각 50억 9000만 달러, 21억 7000만 달러였다.
이 중 대중 무역적자는 각각 30억 달러, 21억 1000만 달러에 달했다. 리튬 무역적자의 59%, 전구체 무역적자의 97%가 중국에서 났다. 상반기에만 양극재 수출로 58억 1000만 달러의 무역 흑자를 냈지만 약 88%에 해당하는 51억 1000만 달러가 리튬과 전구체 등 원료 화합물을 댄 중국으로 간 셈이다.
다만 국내 배터리 업계가 IRA상의 핵심 광물 세액공제 조건 충족을 위해 전구체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면서 전구체 수입액이 다소 둔화됐다고 보고서는 진단했다.
2023-09-06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