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에너지기업 3사와 컨소시엄…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
우리나라의 연간 탄소배출량에 달하는 6억톤 규모 저장소 확보
![포스코인터내셔널의 미국 텍사스주 CCS 사업 영역.](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9/06/SSC_20230906083620_O2.jpg)
![포스코인터내셔널의 미국 텍사스주 CCS 사업 영역.](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9/06/SSC_20230906083620.jpg)
포스코인터내셔널의 미국 텍사스주 CCS 사업 영역.
이번 입찰에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스페인 렙솔, 미국 카본버트, 일본 미쓰이 미국법인 등 글로벌 에너지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했으며, 지분은 10%이다.
사업대상 지역은 텍사스 코퍼스 크리스티 인근 해상 578㎢ 로 서울시 면적과 유사한 수준이다. 개발시 시추, 플랫폼과 해저파이프라인 설치를 거쳐 수 십년간 저장소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할 수 있게 된다. 저장 가능한 탄소 용량은 6억톤 이상으로 예상되며, 이는 우리나라의 연간 탄소배출량에 달하는 규모이다.
미국 텍사스 연안은 개발 가능성, 사업의 용이성, 정책과 산업적 측면 등을 고려할 때 CCS사업을 위한 최적의 입지로 평가받고 있다.
미국은 지난해 제정한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통해 CCS를 활용해 탄소를 감축하는 기업에 톤당 최대 85달러의 보조금을 지급하는 등 제도적으로 CCS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전 세계에서 CCS사업이 가장 활발하며 현재까지 탄소배출 감축만으로 직접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유일한 국가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이달 미국에 신규회사를 설립하고, 향후 이번 사업 외에도 추가적인 CCS사업도 본격 추진해 글로벌 탄소 중립 이행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