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들 CFD 악재 털어내나 했더니…3분기 채권이 ‘발목’

증권사들 CFD 악재 털어내나 했더니…3분기 채권이 ‘발목’

김성은 기자
김성은 기자
입력 2023-10-07 08:00
수정 2023-10-07 08: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5대 증권사 순이익 3.5% 감소 추정
이차전지 열풍 꺾여 증권사 수익 타격
채권 금리도 급등…수익률에 악영향

이미지 확대
2023.10.6 연합뉴스
2023.10.6 연합뉴스
국내 주요 증권사들의 3분기 성적표가 엇갈릴 전망이다. 지난 2분기 차액결제거래(CFD)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악재를 털어낸 증권사들 앞에는 금리 상승에 따른 채권 수익 악화가 암초로 떠올랐다.

6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5대 대형 증권사(한국투자·삼성·키움·NH투자·미래에셋증권)의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 추정치 합계는 1조 77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분기의 1조 141억원과 비교하면 0.6% 감소한 규모다. 이들 5대 증권사 3분기 순이익 추정치도 7997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3.5% 쪼그라들 것으로 전망됐다.

5대 증권사 가운데 NH투자증권의 3분기 실적이 가장 큰 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NH투자증권 3분기 영업이익 추정치는 1883억원으로 전분기보다 14.6% 감소할 전망이다. 같은 기간 한국투자증권 역시 2557억원에서 2347억원으로 8.2%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키움증권은 11.5%, 미래에셋증권은 11.1%, 삼성증권은 4.2% 각각 증가할 것으로 추정됐다.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증시가 내리막길을 걸으면서 증권사 거래대금 수익에 타격을 입힐 것으로 전망됐다. 코스피지수는 3분기가 시작된 지난 7월 3일부터 9월 27일까지 5.3% 떨어졌으며 같은 기간 코스닥지수도 5.4% 하락했다. 거래대금은 19조 5820억원에서 14조 661억원으로 5조 5156억원 급감했다. 올해 증시를 이끌었던 이차전지 열풍이 급격히 식은 영향이다.

크게 뛴 채권 금리 역시 증권사 수익에 그림자를 드리웠다. 채권 금리가 상승하면 반대로 채권값이 떨어져 수익률에 악영향을 준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국채 3년물 금리는 3분기 초인 7월 3일 3.613%에서 분기 말인 9월 27일 3.884%로 0.271%포인트 뛰었다. 같은 기간 회사채(무보증 3년) AA-등급 금리도 4.421%에서 4.658%로 0.237%포인트 상승했다.

증권사들이 2분기 차액결제거래(CFD)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충당금을 털어낸 뒤 3분기부터는 대체로 양호한 실적을 내리란 전망에서 비켜난 것이다. 지난 3분기 증권업종이 포함된 KRX 증권 지수 낙폭은 코스피(-5.3%)보다 높은 -1.2%에 그친 바 있다.

증권가는 내년 중순 이후라야 증권업종에 대한 투자심리가 개선될 것으로 보고 있다. 강승건 KB증권 연구원은 “2024년 중순 이후 기준금리가 하락 사이클로 진입할 수 있으며 2018 ~2019년 설정된 해외 부동산펀드 손상과 PF 대출 관련 충당금이 실적에 상당 부분 반영되며 불확실성이 해소되는 국면으로 진입할 전망”이라며 “채권 보유 규모와 운용자산 규모가 큰 증권사 중심으로 평가이익 시현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