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1분기 1.3% GDP ‘깜짝 성장’

1분기 1.3% GDP ‘깜짝 성장’

신융아 기자
신융아 기자
입력 2024-04-26 03:12
업데이트 2024-04-26 03: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IT 호조에 소비·건설 예상 밖 반등… 3高 뚫고 다시 성장궤도 오를까

27개월 만에 최고… 내수회복 기대
연간 성장률 전망치 2.1% 웃돌 듯


이미지 확대
25일 부산 남구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 이날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 분기 대비 1.3%(속보치) 증가했다. 뉴스1
25일 부산 남구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 이날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 분기 대비 1.3%(속보치) 증가했다.
뉴스1
계속되는 고금리·고물가 속에서도 한국 경제가 수출과 소비에 힘입어 1분기 1.3%의 ‘깜짝’ 성장을 이뤘다. 시장의 예측을 훌쩍 뛰어넘는 수치를 확인하면서 연간 성장률 전망치(2.1%)도 올라갈 것이란 기대감이 나온다. 다만 반등 중인 내수의 폭과 국내외 리스크의 깊이가 변수라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은행은 25일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직전 분기 대비 1.3%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분기 성장률로는 2021년 4분기(1.4%) 이후 2년 3개월 만의 최고치로, 지난해 연간 성장률(1.4%)에 육박하는 수치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실질 GDP는 3.4% 증가했다.

1분기 수출은 이동전화기 등 정보기술(IT) 품목을 중심으로 0.9% 증가한 데 비해 수입은 전기장비 등을 중심으로 0.7% 감소했다. 민간소비는 의류 등 재화와 음식·숙박 서비스가 모두 늘어 0.8% 성장했다. 건설투자도 건물건설과 토목건설이 모두 늘어 2.7% 증가세를 나타냈다. 정부소비는 4·10 총선 등의 영향으로 0.7% 증가했다. 신승철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소비심리 회복과 대외 활동 증가로 의류, 음식점 등의 소비가 늘었고 건설투자도 큰 폭의 플러스(+)로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대통령실도 이날 브리핑을 통해 “올해 경제성장률이 당초 정부 측에서 예상한 2.2%를 넘어설 것”이라면서 “민간 주도의 역동적인 성장 경로로 복귀했다”고 평가했다.

1분기 한국 경제는 설비투자를 제외한 대부분의 분야에서 선전했다. 특히 내수 부진의 우려가 계속 제기됐던 상황에서 민간소비가 반등하면서 내수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나온다.

민간소비 부문은 최근 대외 활동이 늘어나면서 소비심리가 살아난 영향과 지난 1월 휴대전화 출시(삼성전자 스마트폰 갤럭시 S24) 후 판매 효과가 작용한 것이 증가 요인으로 꼽혔다.

건설투자 부문은 지난해 4분기(-4.5%) 성장률이 높지 않았던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했고 최근 공사가 마무리되면서 실적이 많이 오른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여전히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관련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 건설 관련 지표가 좋지 않아 건설 쪽은 다시 부진한 흐름으로 돌아갈 가능성도 있다는 게 한은의 전망이다.

이 같은 호실적이 체감 경기와는 온도 차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고물가·고금리 기조 속에 이달 들어선 이스라엘·이란의 대립으로 인한 대외 불확실성까지 확대되면서 고유가·고환율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2, 3월 모두 3.1%를 기록했다. 신 국장은 “민간 소비심리가 지난해보다는 올해 1~4월 개선된 상황이지만, 지속될지는 농산물 가격이나 유가 등이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은의 연간 경제성장률 전망치(2.1%)는 상향 조정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 12일 통화정책방향에서 “올해 성장률이 2월 전망치(2.1%)에 부합하거나 웃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언급한 바 있다. 당시 수출 여건으로 볼 때 성장률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으나 내수 관련 자료가 부족한 상황이었는데 내수 회복 흐름이 나타나면서 청신호가 켜졌단 분석이다.

다만 1분기 실적이 높게 나온 만큼 2분기 실적이 기대치를 따라갈지는 미지수다. 신 국장은 “하반기로 갈수록 환율이나 금리 등 여건이 완화될 가능성이 있고 개선 흐름이 일단 지속되리란 전망은 유지될 것”이라면서도 “체감 경기와 민감한 민간소비와 건설투자 관련 전반적인 여건은 녹록지 않은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신융아 기자
2024-04-26 1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