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서비스땐 통화료 인하 효과”
19대 국회 개원과 함께 이동통신 업체들의 통신요금 인하 부담감도 커지고 있다.이에 따라 현실로 닥친 통신요금 인하 대안의 하나로 와이파이(WiFi) 공용화가 거론되고 있다. 와이파이 공용화는 이통 3사가 개별적으로 설치해 자사 가입자만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이 서비스를 누구든지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방하는 것을 말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달 말까지 전국 1000곳의 공공시설에 이통 3사의 와이파이존 공동 구축을 완료하고 무료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라고 1일 밝혔다.
SK텔레콤에 따르면 최근 글로벌 네트워크 장비업체인 시스코의 조사에서 지난해 우리나라 1인당 월평균 무선데이터 트래픽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주요국과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 휴대전화 이용자의 월평균 데이터 이용량은 835MB로 글로벌 평균인 92MB에 비해 9배나 높았다. 미국의 1인당 월평균 이용량은 319MB, 일본은 392MB, 중국은 26MB에 그쳤다. SK텔레콤 관계자는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들의 데이터 사용량을 감안하면 통신요금이 비싼 것만은 아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방통위 관계자는 “와이파이 공용화는 데이터 사용 요금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와이파이 공용화에 대해 이통 3사가 모두 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이통사들은 국내 휴대전화 이용자들의 데이터 이용량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는 이유를 내세우며 ‘무조건적’ 통신요금 인하 반대에는 한목소리를 내면서도, 와이파이 공용화에 대해서는 이해가 엇갈리고 있는 것이다.
현재 이통 3사는 전국에 17만여개의 와이파이존에서 무선랜 접속장치(AP) 34만여개를 운영하고 있다. LG유플러스가 지난 2월 말부터 와이파이존을 무료 개방하고 있으며, SK텔레콤과 KT는 타사 가입자에게 개방하지 않고 있다.
KT에 비해서 와이파이 시설이 부족한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공용화를 환영하지만 와이파이 구축에 투자를 많이 한 KT의 입장에서는 불만이 있을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통신요금 인하 대안으로 거론되는 공용화 확대를 위해 이통 3사의 협의가 필요하다.
홍혜정기자 jukebox@seoul.co.kr
2012-06-02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