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돌 브랜드로 화제 된 의류들
백화점 매장서 매출 신기록 화제
신세계, 해외브랜드 잇달아 론칭
엔데믹 수요 맞춰 사업 확장 경쟁
![패션 브랜드 이미지. 신세계인터내셔날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23/SSC_20230523073243_O2.jpg)
![패션 브랜드 이미지. 신세계인터내셔날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23/SSC_20230523073243.jpg)
패션 브랜드 이미지. 신세계인터내셔날 제공
신세계인터내셔날은 미국 패션 브랜드 ‘리포메이션’의 국내 첫 매장을 이달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에 연다고 22일 밝혔다. 9월에는 프랑스 브랜드 ‘꾸레쥬’의 국내 최초 정식 매장을 열 예정이다. 모두 아이돌 가수가 입고 있는 모습이 화제가 되면서 유행에 민감한 MZ세대 중심으로 해외 직구 수요가 있던 브랜드들이다.
패션업계는 이처럼 대중적 인지도가 높은 브랜드보다는 패션 소비 주축으로 부상한 MZ세대의 입맛에 맞는 브랜드 확보에 중점을 두고 있다.
최근 현대백화점이 백화점 업계 최초로 국내 영패션 브랜드 ‘시에’의 첫 매장을 내고 3월 한 달간 매출 7억원이란 높은 실적을 내면서 ‘MZ세대가 돈이 된다’는 인식도 강해지고 있다. 월 7억원은 영패션 브랜드 단일 매장 기준 역대 최대 실적으로, 통상 현대백화점에 입점한 최상위 영패션 브랜드 월 매출 수준인 3억~4억원의 두 배에 달하는 기록이다.
이른바 ‘힙한 브랜드’ 육성은 올해 들어 수익성이 악화된 패션업계가 당면한 중요 과제이기도 하다. 엔데믹으로 야외 활동이 늘면서 올해 1분기 주요 백화점 3사(롯데·신세계·현대)가 패션 부문 매출에 힘입어 외형 성장을 이뤘는데, 정작 패션업계에선 삼성물산 패션부문을 제외한 신세계인터, 한섬, 코오롱FnC 등의 영업이익이 모두 전년 대비 줄어들었다.
특히 신세계인터내셔날은 지난해 말 국내 직진출을 선언한 명품 브랜드 셀린느의 부재로 인해 올해 1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1.4% 감소한 3122억원, 영업이익은 69% 줄어든 103억원에 그쳤다. 삼성물산 패션부문도 주력 수입 브랜드 중 하나였던 톰브라운이 오는 7월부터 국내 법인을 세우고 직진출을 선언하면서, 기존 독점 수입사에서 국내 리테일 관리 업체로 역할이 변경된다. 이에 따라 관련 매출이 줄어들 가능성이 큰 만큼 대안으로 차세대 브랜드 띄우기에 집중하고 있다. 올해 자크뮈스, 가니 등의 브랜드 매장을 늘리면서 1~4월 누적 매출이 전년 대비 각각 100%, 200%씩 성장하는 등 성과도 거두고 있다.
2023-05-23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