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육군훈련소 민간위탁 병영식당에서 민간 조리사들이 장병 음식을 조리하고 있다. 육군 제공
군 급식을 제공할 수 있는 길이 확대되면서 새로운 시장을 찾고자 하는 민간 급식업체 사이에서 수주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31일 급식업계에 따르면 국방부는 올해 군 금식 민간 위탁 사업 대상 부대를 49곳으로 확대한다. 국방부는 2022년부터 군 급식 위탁 사업을 시범사업으로 추진했다가 2023년 13개 부대에 이어 지난해 26개 부대까지 늘려오고 있다. 병력 감소와 복무 기간 단축으로 인한 조리병 부족, 숙련도 저하 문제에 대비하고 부대의 급식 운영 부담을 낮추기 위한 조치다.
올해 49개 부대에서 민간 위탁 급식을 하면 대상 인원은 모두 5만 8000명이 된다. 전체 급식 인원의 15% 수준이다. 국방부는 급식 운영 부담이 높은 대규모 교육 훈련 부대와 후방 부대 위주로 군 급식 위탁 사업을 우선 시행할 방침이다.
현재 민간 급식 시장이 포화 상태인 상황에서 급식업체들에게 군 급식은 새 시장이다. 단가가 높지 않아 수익성이 크지 않지만 안정적으로 식사 인원을 확보할 수 있는 데다 예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급식업계에서는 전체 장병에게 급식을 제공할 경우 시장이 연간 2조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군 급식 시장에서 선두 기업은 풀무원푸드앤컬처다. 군 급식 시범 사업을 하면서 현재 육·해·공군과 해명대에서 모두 급식을 제공중이다. 동원홈푸드는 육군과 공군 4개 부대에서 위탁 급식을 맡고 있다. 삼성웰스토리는 육군사관학교에서, 아워홈은 공군 20전투비행단 등에서 급식을 위탁 운영중이다.
최근엔 충남 논산시 육군훈련소 30연대 병영식당 민간 위탁 급식 입찰이 진행되면서 업체들이 촉각을 곤두 세우고 있다. 입찰엔 10개 업체가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주 업체별 발표가 이뤄졌으며 정부는 다음달 7일쯤 우선협상 대상자를 발표한다.급식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가 확산할때 재택근무의 보편화로 급식업계가 큰 타격을 받았다. 군 급식은 세끼를 모두 제공하기에 업체들이 블루오션이라 보고 경쟁적으로 뛰어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