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주택도 소형 선호 추세

주말주택도 소형 선호 추세

입력 2010-05-31 00:00
업데이트 2010-05-31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 대형 아파트보다 중소형 아파트를 선호하는 추세는 단순히 경기불황 탓만은 아니다.

베이비부머 세대들의 은퇴가 본격적으로 이뤄지면서 집 크기를 줄이고 여기서 생긴 자금으로 여유 있는 노년을 즐기겠다는 풍토가 반영돼 있다.

이미지 확대
이와 비슷하게 서울에서 가까운 수도권 근교에 1억~1억 5000만원 정도의 작은 주말주택을 지으려는 수요도 부쩍 늘고 있다. 집의 크기나 외관보다는 자주 이용하면서 텃밭을 일구는 등 전원생활 자체를 즐기고 싶어 하는 것이다.

30일 주택마케팅 전문업체 ㈜홈덱스가 이런 주말주택(세컨드하우스)에 관심이 있는 수요자 2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의 65.5%가 2억원 미만의 주말주택을 짓고 싶다고 대답했다. 또 3년 이내에 주말주택을 마련하겠다는 사람이 57.2%였고, 희망지역은 경기·강원·충청 지역 순이었다.

이승훈 홈덱스 대표는 “2000년에만 해도 주말주택을 대지 1000㎡에 주택 130~160㎡ 규모로 마련하는 게 대부분이었으나, 최근에는 대지 300~400㎡에 주택 50~60㎡의 소형을 선호한다.”면서 “부지의 면적과 주택의 면적이 많이 줄었고 투자비 규모도 1억원대로 줄이는 경향이 강하다.”고 말했다.

세컨드하우스를 고를 때는 무엇보다 자신이 살고 있는 곳과의 거리부터 따져봐야 한다. 현재 살고 있는 곳이나 직장에서 승용차로 1시간30분 이내가 적당하다. 세컨드하우스는 거의 매주 이용하는 주말주택 개념이므로 자주 오가야 하는데 너무 멀면 이동시간에 대한 부담이 커진다.

개별적으로 토지를 구입할 경우는 건축허가가 가능한 지가 우선 고려 대상이다. 경관이 좋다고 해서 덜컥 토지구입계약서부터 썼다가 건축허가가 나지 않아 계약금만 날리는 수가 있다. 토지 매도자가 건축허가를 책임지는 조건으로 토지매매 계약을 하고, 꼭 해당 지방자치단체에 건축허가가 가능한 땅인지를 반드시 사전에 확인해야 한다.

단지로 조성된 곳을 구입할 경우에는 시행사의 공신력과 실행 능력을 따져봐야 한다. 최근 세컨드하우스 붐을 타고 소위 ‘기획부동산’이나 무허가 중개업자 등이 그럴싸한 개발청사진을 제시하는 경우가 있는데, 건축허가가 나지 않는 땅일 수도 있으니 확인을 거쳐야 한다.

주택을 건축할 때는 외관상의 화려함이나 큰 규모보다 경제성을 우선 고려하는 것이 좋다. 세컨드하우스 건축비용은 건축유형에 따라 달라지지만 3.3㎡당 300만원선이면 충분하다. 이를 기준으로 건축규모가 작을수록 비용이 많이 들고, 클수록 비용이 적게 든다.

이 대표는 “처음엔 주말마다 오가면서 행복한 전원생활을 꿈꾸지만 자주 이용하지 못하면 애물단지로 전락할 수도 있다.”면서 “나중에 펜션으로 운영한다든지 되팔 수도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는 현명함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윤설영기자 snow0@seoul.co.kr
2010-05-31 1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