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의 몰락] 집값에 배신당한 40대… ‘빚내서 투자’ 관행에 샌드위치 신세

[집의 몰락] 집값에 배신당한 40대… ‘빚내서 투자’ 관행에 샌드위치 신세

입력 2012-06-09 00:00
수정 2012-06-09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0명중 6명 “난 하우스푸어”

“부동산이 이렇게 될 줄 누가 알았겠습니까. 완전한 배신이죠.”

김모(43)씨는 3년 전 서울 용산구에서 84㎡(25평) 아파트를 6억 1000만원에 구입했다. 지금 시세는 5억 5000만원이지만 실제 팔려면 2000만~3000만원을 더 낮춰 ‘급매’로 내놔야 한다. 김씨는 “초등학교 아이 교육에 좋고 집값이 잘 안 떨어지는 지역이라는 생각에 집값의 거의 절반을 대출받으면서 정했는데 원리금 압박을 이겨낼 재간이 없다.”면서 “집값은 계속 하락할 텐데 될 대로 되라는 심정”이라고 말했다.

8일 서울신문·잡코리아가 시민 421명을 대상으로 6월 4일부터 5일간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집을 가진 40대 10명 중 6명(60.5%)꼴로 스스로를 ‘하우스 푸어’라고 응답했다. 30대가 50%로 뒤를 이었고 50대와 20대는 각각 41.7%, 37%였다.

소득 수준으로 나누어 볼 때 연간 가구수입이 2000만~5000만원인 경우에 절반 이상이 스스로 하우스 푸어라고 했다. 연간 가구수입이 5000만원 초과, 2000만원 미만인 경우는 각각 36.1%, 45.3%가 하우스 푸어라고 했다. 결과적으로 40대 중산층이 집값 하락으로 가장 큰 타격을 받은 셈이다. 40대는 월 가구소득 중에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을 갚는 비율이 40% 이상으로 위험 수위인 경우가 31.6%로 다른 연령대보다 10% 포인트 이상 많았다. 또 주택대출규모가 주택가격의 30% 이상인 경우도 50%로 가장 높았다. 50대는 25%에 불과했고 20대와 30대도 각각 44.4%, 45.6%로 절반에 못 미쳤다.

집 때문에 ‘눈덩이 빚’을 지고 있는 40대는 부동산 경기도 가장 나쁘게 봤다. 향후 1년 내 부동산 가격이 20% 이상 상승할 것이라고 응답한 이들은 5.2%뿐이었다. 연령별로는 50대가 16.7%로 가장 높았고 지역별로는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 21.7%)가 가장 많이 대답했다. 한 부동산 업자는 “집값은 정체된 지 5년이 됐고 은행금리는 오르는데 소득은 오르지 않고 물가만 치솟았다.”면서 “지금 40대는 대부분이 빚을 지고 집에 투자해 이익을 얻던 윗세대의 관행을 답습했던 이들인데 20~30대는 무리해서 40대의 집을 물려받으려 하지 않으니 주택시장에서 샌드위치 신세가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의 부동산 가격 정책에 대해 전체적으로 40.4%가 ‘모든 지역의 집값을 더 내려야 한다’고 응답한 반면 40대는 ‘시장에 맡겨야 한다’는 대답이 31%로 가장 많았다. 정부 정책에 대한 신뢰가 적은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이경주·이성원기자 kdlrudwn@seoul.co.kr

2012-06-09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