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거래 반토막인데… 30대 ‘영끌’은 최고치

서울 아파트 거래 반토막인데… 30대 ‘영끌’은 최고치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20-09-21 20:42
업데이트 2020-09-22 04: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달 매매 6880건 중 40%가 30대
강서·성북·성동 등 8개구는 40% 넘어
강남권 고가아파트 매입 비중도 늘어

이미지 확대
지난달 서울에서 거래된 아파트 약 40%를 30대가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24회에 걸친 고강도 부동산 규제 폭탄과 코로나19로 부동산 시장이 위축되면서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가 반토막이 난 가운데도 30대는 여전히 ‘영끌’(영혼까지 대출을 끌어모아 집을 산다는 뜻의 신조어)을 이어 간 것이다.

21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아파트 매매 현황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매매 건수는 6880건으로 전달(1만 6002건)과 비교해 57.0% 감소했다. 이 가운데 36.9%(2541건)를 30대가 매입해 전 연령을 통틀어 비중이 가장 높았다. 이 비중은 지난해 1월 연령대별 통계 조사를 시작한 이후 최고치다. 30대의 매매 비중은 올 들어 단 한 번도 1위 자리를 내주지 않았다.

지역별로 보면 ‘강남 3구’와 양천구를 제외한 서울의 모든 구에서 30대는 최고 구매층이었다. 40%를 넘긴 지역도 많았다. 강서구의 30대 매입 비중이 46.5%(전체 594건 중 276건)로 가장 높았다. 성북구(45.0%), 성동구(44.5%), 동작구(44.1%), 서대문구(43.3%), 동대문구(43.2%), 마포구(41.5%), 영등포구(40.1%) 등까지 8개 구에서 40%를 웃돌았다.

고가 아파트가 많은 강남권에서도 30대 매입 비중은 늘어났다. 강남구의 30대 아파트 매입 비중은 7월 24.4%에서 8월 26.0%로 1.6% 포인트 늘었다. 서초구는 26.7%에서 27.1%로, 강동구는 30.6%에서 34.2%로 역시 늘었다.

30대에 이어 40대(28.3%), 50대(16.5%), 60대(8.7%) 순으로 많이 샀다. 30대와 40대의 매매 비중 격차는 8.6% 포인트로 전달(4.6% 포인트)보다 2배 가까이 벌어졌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20-09-22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