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유세 부담 됐나… 5개월 만에 꺾인 서울·수도권 집값 상승세

보유세 부담 됐나… 5개월 만에 꺾인 서울·수도권 집값 상승세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21-04-01 20:32
업데이트 2021-04-02 05: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4대책 공급 기대감·금리 인상 맞물린 탓
중저가·재건축 호재 단지는 오름세 여전

이미지 확대
정부가 이르면 내달 초 김포·파주 등 집값과열지역에 대한 조정대상지역 지정을 검토한다. 6·17 부동산대책의 후속책으로 보유세 강화카드를 내밀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사진은 28일 경기도 김포시 김포한강신도시 모습. 2020.6.28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정부가 이르면 내달 초 김포·파주 등 집값과열지역에 대한 조정대상지역 지정을 검토한다. 6·17 부동산대책의 후속책으로 보유세 강화카드를 내밀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사진은 28일 경기도 김포시 김포한강신도시 모습. 2020.6.28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서울과 수도권의 집값 상승세가 5개월 만에 한풀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주택 종합(아파트·단독·연립주택 포함) 매매가격은 0.38% 올라 전월(0.51%)보다 상승폭이 둔화했다. 지난해 10월 이후 서울 집값 상승폭이 축소되기는 5개월 만이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2월 0.67%에서 지난달 0.49%로 오름폭이 줄었고, 연립주택(0.29%→0.21%)과 단독주택(0.37%→0.34%)도 상승폭이 둔화했다.

부동산원은 “규제 완화 기대감이 있는 재건축 단지와 중저가 단지 위주로 집값이 올랐으나 2·4 대책에 따른 공급 기대감에 금리·공시가격 인상, 보유세 부담 등이 영향을 미쳐 전체적인 상승폭은 축소됐다”고 밝혔다.

서울 강북권은 노원구(0.68%)와 마포구(0.35%)가 역세권 위주로 집값이 올랐고, 도봉구(0.55%)는 교통·개발 호재가 있는 지역 위주로 상승이 계속됐다.

강남권은 강남구(0.45%)와 양천구(0.43%)가 재건축 단지 위주로, 서초구(0.46%)는 대단지 위주로 가격이 올랐다. 송파구(0.45%)와 강동구(0.31%)의 경우 중저가 단지 위주로 집값이 강세를 보였다.

수도권 주택 가격은 0.96% 상승했다. 전월 1.17% 상승률을 기록해 2008년 6월(1.80%) 이후 12년 8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을 보였던 것에 비하면 다소 진정된 것이다. 경기는 1.63%에서 1.28%로 상승폭이 둔화했으나 인천은 1.16%에서 1.31%로 상승폭이 커졌다. GTX 노선 기대감이 있는 경기와 인천 지역이 오름세를 주도했다. 인천을 제외한 5대 광역시는 0.77%로 전월(1.00%) 대비 오름폭이 줄었다.

이기철 선임기자 chuli@seoul.co.kr
2021-04-02 1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