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發 집값 하락 경보… “금리 1%P 오르면 2년 뒤 최대 2.8% 내려”

한은發 집값 하락 경보… “금리 1%P 오르면 2년 뒤 최대 2.8% 내려”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22-08-03 20:48
수정 2022-08-04 01: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주택시장 리스크’ 보고서 발표

빅스텝 2년 뒤, 10억 집 1400만원↓
추가 금리인상 전망… 하방 압박 커
재건축 활성화·규제 완화는 ‘변수’

이미지 확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내 아파트 모습. 2021.7.12 서울신문 DB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내 아파트 모습. 2021.7.12 서울신문 DB
기준금리가 1% 포인트 오르면 2년 뒤 집값이 최대 2.8% 하락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물가 상승과 주요국의 긴축 움직임에 따라 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집값 하락 압력이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 조사국 물가연구팀·동향분석팀·전망모형팀은 3일 발표한 ‘주택시장 리스크 평가’ 보고서에서 “주택가격이 최근 하락세로 돌아선 가운데 시장에서는 기준금리가 올해 여러 차례 추가로 인상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며 “주택가격 하방 요인이 점차 강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준금리가 1% 포인트 인상되면 금리가 현재 수준을 유지할 때와 비교해 전국의 집값은 1년 뒤 0.4~0.7%, 2년 뒤에는 0.9~2.8% 정도 내리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은은 지난달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 포인트 인상하는 ‘빅스텝’을 밟았다. 집값이 10억원이라면 빅스텝의 영향만으로 2년 뒤 1400만원이 떨어진다는 얘기다. 김대용 물가연구팀 차장은 “다른 조건이 유지되고 금리만 인상된다고 했을 때 주택가격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한은은 보고서에서 “일반적으로 금리 인상은 주택가격을 하락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며 “가계부채 규모가 크거나 변동금리 대출 비중이 높으면 금리 인상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더 컸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9년(4.0%)을 제외하면 2003년 이후 연간 가계부채 증가율이 지속적으로 5%를 웃돈다. 올 1분기 기준 우리나라 가계 빚은 1859조 4000억원 수준이다. 변동금리 대출 비중도 지난 6월 예금은행 잔액 기준으로 78.1%에 달한다.

최근 전국 집값 상승세는 멈췄다. KB국민은행의 주택가격 동향 조사로는 지난달 전국 주택의 평균 매매가 상승률은 0%였다. KB 조사 기준으로 전국 집값 상승세가 멈춘 것은 2019년 7월(-0.01%) 이후 3년 만이다. 한국부동산원의 통계로는 이미 지난 6월(-0.01%) 집값은 하락 전환했다. 아울러 서울의 아파트값은 지난주까지 9주 연속 하락했다.

이러한 집값 하락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보고서는 “소득, 임대료와 비교했을 때 전국 주택가격은 과거 평균을 크게 웃돌고 있어 고점에 다다랐다는 인식이 있다”며 “금리 인상뿐 아니라 가계부채에 대한 규제가 강화된 점도 주택가격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정부의 규제 완화, 정비사업 활성화 가능성, 신규 공급 부족 등은 주택가격 하방 압력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꼽혔다.



2022-08-04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