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알지 못해도 쉬워요] 대출금리 역전 미스터리

[경제 알지 못해도 쉬워요] 대출금리 역전 미스터리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17-07-24 20:48
수정 2017-07-25 00: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주택담보대출보다 금리가 더 싼 신용대출? 신용도 최고거나 특별협약 맺지 않고서야…

30대 직장인 김지훈 과장은 얼마 전 20평대 집을 장만했습니다.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1억원을 10년 만기로 연 3.5%(변동금리)에 빌려 보탰지요. 사흘 뒤 직장 동료가 수천만원을 일반신용대출로 연 3.45%에 빌렸다는 말에 “내가 이러려고 집 매매계약서 사본 내고 고생했나” 하는 자괴감이 들었다고 하네요. 그런데 알고 보니 김 과장 역시 신용대출을 연 3%대 중반으로 받을 수 있었다고 합니다.
●주택‘담보’대출금리가 낮은 게 일반적

여기서 궁금증 하나. ‘사람’ 하나 믿고 돈을 내주는 신용대출과 달리 주택담보대출은 ‘집’을 믿고 돈을 빌려주는 겁니다. 대출자가 돈을 제대로 갚지 못해도 은행 입장에서는 담보로 잡은 집을 팔면 손해 볼 가능성이 작다는 얘기지요. 그런데 왜 안전한 주택담보대출보다 무담보 신용대출이 금리가 더 낮은 ‘금리 역전 미스터리’가 발생하는 것일까요.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주담대와 신용대출의 금리 역전 현상은 신용대출 고객이 신용등급이 월등하거나 고객이 공무원이거나 정부 투자기관 같은 공공기업 등 신용도가 ‘튼튼’하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컨대 최근 KB국민은행이 연 1%대의 파격적인 대출금리를 제시해 경찰청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참수리 대출’(경찰 대상)이 그런 거죠. 논란을 빚기도 했지만, 특정 기관이나 단체가 은행과 별도의 협약을 맺어도 초저금리 대출이 가능한 것이지요.

하지만 대다수의 주담대 상품이 신용대출보다 금리가 더 낮습니다. 최근 ‘은행권 주담대가 연 5%에 육박한다’고 떠들썩했지만, 그것은 ①고객이 금리 우대 혜택을 거의 받지 못했거나 ②고객 신용등급이 매우 낮아 최고금리가 적용된 상황이 다 같이 맞아떨어졌을 때를 가정한 겁니다.

●年5%? 각종 우대금리로 이자 깎아줘

시중은행들은 신규 고객 유치 차원에서라도 급여 이체(월급통장)나 해당 은행 모바일뱅킹 사용 등에 우대금리를 적용해 대출금리를 깎아 주고 이자 부담도 줄여 줍니다.

은행연합회에 공시된 ‘신용대출 평균 금리’와 ‘주담대 평균 금리’를 놓고 비교하면 더 명확합니다.10년 만기 분할상환식 주담대 평균금리는 6월 기준으로 연 3.12(제일)~3.58%(대구) 수준입니다. 반면 일반신용대출 전체 평균금리는 연 3.49(농협)~6.47%(전북)입니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7-07-25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