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 4분기 연속 ‘리딩뱅크’ 왕좌 올랐다

KB, 4분기 연속 ‘리딩뱅크’ 왕좌 올랐다

최선을 기자
입력 2018-04-20 23:00
업데이트 2018-04-21 02: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개 금융지주 1분기 실적 발표

KB 순익 9682억… 신한, 1107억 뒤져
신한, 글로벌 부문 45% 성장 추격 발판
하나, 36%↑ 6712억… 6년 만에 최고
우리, 예상 웃돈 5897억원 사상 최대치
이미지 확대
예상대로 올 1분기 금융지주 왕좌는 KB금융에 돌아갔다. 당기순이익 면에서 신한금융이 KB금융에 1107억원 뒤졌다. 하지만 올해에도 ‘리딩뱅크’ 전쟁은 계속될 전망이다. 신한금융은 은행의 글로벌 부문에서 전년 동기 대비 50% 가까이 늘어난 순익을 기록하며 추격의 발판을 마련했다.

신한금융은 올 1분기 당기순이익이 8575억원을 기록했다고 20일 밝혔다. 지난해 1분기 일회성 요인인 신한카드 대손충당금 환입액을 제외하면 전년 동기 대비 18.9% 증가했다. 이자이익은 2조 588억원, 비이자이익은 3844억원을 벌어들였다. 신한은행은 전년 동기 대비 12.3% 증가한 6005억원, 신한카드는 10.4% 증가(일회성 충당금 환입 제외)한 1391억원의 순익을 냈다.

이에 따라 신한금융은 지난해 2분기에 처음으로 KB금융에 리딩뱅크 자리를 내준 뒤 4분기 연속 왕좌를 되찾지 못하게 됐다. 전날 KB금융은 올 1분기 순익이 9682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KB금융이 은행의 명동 사옥을 매각하면서 1150억원의 이익을 낸 것을 감안하면 두 회사의 1분기 실적이 비슷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신한금융이 베트남 등 현지에서 적극적인 인수합병(M&A)에 나서면서 글로벌 성과를 가속화하고 있다는 점도 눈여겨볼 만하다. 신한은행의 글로벌 순익은 전년 동기 대비 45.5% 증가한 761억원을 기록했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국내 이자이익은 향후 정부 정책에 따라 변동성이 생길 여지가 크지만 동남아 시장의 해외 수익은 지속적으로 성장 가능한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하나금융의 올 1분기 순익은 전년 동기 대비 36.4% 증가한 6712억원으로 집계됐다. 2012년 외환은행 인수 이후 6년 만에 최대 실적을 올렸다. 특히 자기자본이익률(ROE)은 외환은행 인수 후의 분기를 기준으로 처음으로 10%를 상회하는 11.25%를 달성하면서 효율적인 경영 성과를 나타냈다. 하나은행은 6319억원의 순익을 내 2015년 통합은행 출범 이후 분기 기준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우리은행은 이날 시장의 예상치를 웃도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올 1분기 5897억원의 순익을 냈다. 일회성 요인을 제외하면 사상 최대치라고 우리은행은 설명했다. 자회사의 실적을 제외한 우리은행 개별 기준으로는 5506억원의 순익을 기록했다. 은행 수익의 핵심 지표인 순이자마진(NIM)은 KB금융 2.00%, 신한금융 2.10%, 하나금융 1.99%, 우리은행 1.97%로 나타났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2018-04-21 1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