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물경기 흐트러지지 않으면 금리 인상 전향적 검토”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2일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발언에 대해 “(금리) 인상 가능성을 열어둔 것”이라고 밝혔다.신중하게 답변하는 이주열 한은 총재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2일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의 한국은행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위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18.10.22 연합뉴스
이 총재는 앞서 국내외 경제 상황과 통화신용정책 운용상황을 소개하며 “대외 리스크 요인이 성장, 물가 등 거시 경제에 큰 부담을 주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금융 불균형을 완화하고 정책 여력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모든 것을 종합할 때 지금 금리 인상 가능성이 크다는 뜻이냐는 물음에도 그는 “여건만 된다면 금리 인상 쪽으로 가겠다는 메시지를 준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 총재는 지난 18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연 1.50%에서 동결한 배경으로 대외여건의 불확실성이 전망 경로에 미치는 영향을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완화적 금융여건은 가계부채 증가 등 금융 불균형을 확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금융안정에 보다 유의해야 할 상황”이라며 추후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는 또 “리스크 요인을 지켜보고도 실물경기가 크게 흐트러지지 않는다면 11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인상 여부를 전향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다만 “여러 리스크 요인이 있는데 그걸 다 보고도 경기와 물가에 변화를 주지 않는다면 이라는 전제가 있다”고 덧붙였다.
10월 금통위에서 금융안정에 유의할 단계라고 밝히고 의결문에서 ‘신중히’라는 표현을 뺀 것이 ‘금리 인상이 다가왔음을 의미하느냐’는 물음에도 이 총재는 재차 “그렇다”고 답했다.
정부의 대출규제 정책이 나오는 가운데 금리까지 인상하면 경기가 지나치게 꺾일 수 있다는 우려에는 “거시 경제가 감내하는 범위에서 금융 불균형 해소에 대응하겠다는 것”이라며 “경기를 도외시하려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최근 세계 경제에 대해 미국이 내수, 수출 모두 호조를 보이면서 강한 성장세를 보이고 유로 지역, 일본도 잠재성장률 이상의 성장 흐름을 보인다고 소개했다.
반면 중국과 취약신흥국의 성장세는 다소 둔화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내년에도 세계 경제는 올해와 비슷한 수준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지만 미중 무역분쟁 심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지속, 신흥국 금융 불안 확산 가능성 등 불확실성이 잠재해있다고 지적했다.
국내 경제를 두고 이 총재는 “수출 호조, 소비의 완만한 증가세에 힘입어 대체로 잠재성장률 수준의 성장세를 보이며 앞으로 이러한 흐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다만 대외 리스크 요인이 향후 성장 경로에 불확실성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물가 목표 수준에 다소 미치지 못하는 1%대 중후반에 머물 것으로 봤다.
금융 외환시장은 이달 들어 미중 무역분쟁 심화, 주요국 주가 급락 우려로 국내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하고 환율은 상승했으며 외국인 증권투자는 9월 들어 순유출했다고 진단했다.
가계대출에 대해서는 “높은 증가세 억제를 위한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증가 규모가 줄어들고 있으나 여전히 소득보다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