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지난해 신용카드사 영업실적과 관련해 잡음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전년보다 늘었는지 줄었는지를 두고 금감원이 총 4개의 숫자를 제시했기 때문입니다. 어떤 기준을 적용하느냐에 따라 실적이 크게 차이가 나 업계에선 혼란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지난 28일 금감원은 8개 국내 카드사의 영업실적을 여신전문금융업 감독규정과 국제회계기준(IFRS) 등 두 가지 기준으로 나누어 발표했습니다. 금감원이 카드사 실적을 두 버전으로 발표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금감원 감독규정 기준으로는 지난해 카드사 당기순이익이 1조 3800억원으로 전년보다 12.3%(1511억원) 증가했습니다. 반면 IFRS 기준으로 보면 지난해 카드사 순익은 1조 7400억원으로 전년보다 21.5%(4772억원)나 쪼그라들었습니다. 가맹점 수수료 인하 등으로 카드업계 영업 환경이 어려워지는 가운데 한쪽에선 실적이 좋아졌다고 하고 다른 한쪽에선 이익이 급감했다고 하는 정반대의 결과가 나온 것입니다. 카드업계는 “시중은행 등 다른 금융사들도 IFRS 기준에 따라 실적을 발표하고 있고, 순익 추세를 살펴보려면 국제적 기준인 IFRS가 더 적합하다”고 목소리를 높이는 상황입니다.
금감원은 일회성 요인의 영향으로 생긴 문제라고 설명합니다. 금감원의 감독규정은 IFRS 기준보다 대손충당금(떼일 것에 대비해 쌓아 놓는 돈) 적립 기준이 강화돼 있기 때문에 충당금 적립액 차이만큼 순익이 다를 뿐 보통 실적의 흐름은 같게 나타난다고 말입니다.
2017년엔 감독규정상 충당금 적립 기준이 강화돼 카드사들의 충당금 비용이 2000억원 이상 급증했습니다. 그 영향으로 순익은 줄어들었고, 평소처럼 충당금을 쌓은 지난해 실적을 2017년과 비교하면 좋아진 것처럼 보일 수밖에 없는 것이죠. 공교롭게도 IFRS 기준으로 봤을 땐 2017년 신한카드 등 일부 카드사가 충당금 기준을 변경해 충당금이 4400억원 넘게 환입됐습니다. 이 때문에 IFRS 기준 2017년 카드사들의 실적이 좋게 나타났고, 지난해에는 충당금 환입 효과가 없어서 크게 떨어진 것처럼 보인 것입니다.
실제로 충당금 등 일회성 요인을 제외한 지난해 카드사 순익 증감률을 살펴보면 감독규정 기준으로 4.4%(629억원) 감소, IFRS 기준으로 7.4%(1391억원) 감소해 둘 다 소폭 감소세를 나타냈습니다.
일회성 요인 때문에 순익이 일부 달라지는 것은 다른 금융사나 기업들에도 종종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하지만 “카드사 실적 늘었다”는 금감원의 발표에 업계에서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그만큼 최근 카드사들이 힘들어졌다는 방증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지난해에도 금감원이 카드사 상반기 순익이 50% 이상 늘었다고 발표하자 업계가 펄쩍 뛰며 적극 해명한 적이 있습니다. 특히 당시는 가맹점 수수료 인하 폭을 놓고 금융당국과 업계가 갈등하고 있던 터라 금감원이 의도를 가지고 카드사 실적을 부풀렸다는 의심의 눈초리를 받기도 했죠.
이호진 금감원 여신금융감독국 팀장은 “지난해 논란 이후 올해는 어떤 기준으로 발표할지 고민하던 중 결국 두 가지 버전 다 공개하게 됐다”면서 “카드사 실적은 2011년 IFRS를 도입하기 이전부터 감독규정 기준으로 발표해 왔지만 앞으로 어떻게 할지는 내부적으로 검토해볼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지난 28일 금감원은 8개 국내 카드사의 영업실적을 여신전문금융업 감독규정과 국제회계기준(IFRS) 등 두 가지 기준으로 나누어 발표했습니다. 금감원이 카드사 실적을 두 버전으로 발표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금감원 감독규정 기준으로는 지난해 카드사 당기순이익이 1조 3800억원으로 전년보다 12.3%(1511억원) 증가했습니다. 반면 IFRS 기준으로 보면 지난해 카드사 순익은 1조 7400억원으로 전년보다 21.5%(4772억원)나 쪼그라들었습니다. 가맹점 수수료 인하 등으로 카드업계 영업 환경이 어려워지는 가운데 한쪽에선 실적이 좋아졌다고 하고 다른 한쪽에선 이익이 급감했다고 하는 정반대의 결과가 나온 것입니다. 카드업계는 “시중은행 등 다른 금융사들도 IFRS 기준에 따라 실적을 발표하고 있고, 순익 추세를 살펴보려면 국제적 기준인 IFRS가 더 적합하다”고 목소리를 높이는 상황입니다.
금감원은 일회성 요인의 영향으로 생긴 문제라고 설명합니다. 금감원의 감독규정은 IFRS 기준보다 대손충당금(떼일 것에 대비해 쌓아 놓는 돈) 적립 기준이 강화돼 있기 때문에 충당금 적립액 차이만큼 순익이 다를 뿐 보통 실적의 흐름은 같게 나타난다고 말입니다.
2017년엔 감독규정상 충당금 적립 기준이 강화돼 카드사들의 충당금 비용이 2000억원 이상 급증했습니다. 그 영향으로 순익은 줄어들었고, 평소처럼 충당금을 쌓은 지난해 실적을 2017년과 비교하면 좋아진 것처럼 보일 수밖에 없는 것이죠. 공교롭게도 IFRS 기준으로 봤을 땐 2017년 신한카드 등 일부 카드사가 충당금 기준을 변경해 충당금이 4400억원 넘게 환입됐습니다. 이 때문에 IFRS 기준 2017년 카드사들의 실적이 좋게 나타났고, 지난해에는 충당금 환입 효과가 없어서 크게 떨어진 것처럼 보인 것입니다.
실제로 충당금 등 일회성 요인을 제외한 지난해 카드사 순익 증감률을 살펴보면 감독규정 기준으로 4.4%(629억원) 감소, IFRS 기준으로 7.4%(1391억원) 감소해 둘 다 소폭 감소세를 나타냈습니다.
일회성 요인 때문에 순익이 일부 달라지는 것은 다른 금융사나 기업들에도 종종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하지만 “카드사 실적 늘었다”는 금감원의 발표에 업계에서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그만큼 최근 카드사들이 힘들어졌다는 방증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지난해에도 금감원이 카드사 상반기 순익이 50% 이상 늘었다고 발표하자 업계가 펄쩍 뛰며 적극 해명한 적이 있습니다. 특히 당시는 가맹점 수수료 인하 폭을 놓고 금융당국과 업계가 갈등하고 있던 터라 금감원이 의도를 가지고 카드사 실적을 부풀렸다는 의심의 눈초리를 받기도 했죠.
이호진 금감원 여신금융감독국 팀장은 “지난해 논란 이후 올해는 어떤 기준으로 발표할지 고민하던 중 결국 두 가지 버전 다 공개하게 됐다”면서 “카드사 실적은 2011년 IFRS를 도입하기 이전부터 감독규정 기준으로 발표해 왔지만 앞으로 어떻게 할지는 내부적으로 검토해볼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