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학정 PB의 생활 속 재테크] 지금은 국내 주식과 해외 주식 분산투자가 중요

[임학정 PB의 생활 속 재테크] 지금은 국내 주식과 해외 주식 분산투자가 중요

입력 2019-11-13 17:48
업데이트 2019-11-14 02: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1분기 코스피가 2607로 고점을 찍은 뒤 하락세가 계속되고 있다. 지난해 전 세계 주식시장은 가장 큰 위험인 미중 무역분쟁의 충격 속에서 전반적으로 조정세를 보였지만, 국내 투자자들은 미국 증시의 강세를 보며 상대적으로 소외감을 크게 느낄 수밖에 없었다. 현재 국내 주식시장은 3~4년 전과 달라진 게 없다. 박스권에 갇혀 있다. 오히려 미국 증시의 강세로 지난해부터 해외 주식 투자 비중이 상당히 높아졌다. 최근에는 해외 주식에 투자하지 않으면 재테크를 잘못하고 있다는 인식이 들 정도다. 해외 주식이 전부인 듯한 쏠림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반대로 생각하면 국내 주식을 너무 비관적으로 보는 건 아닌지, 국내 기업들이 너무 저평가된 건 아닌지에 대한 역발상이 필요한 시기다. 현재 우리 경기 상황에 대한 우려가 많은 데다 내년에도 크게 나아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지만 이럴 때가 저평가된 기업들의 주식을 싸게 살 수 있는 기회다. 가치주 투자 전략을 한발 앞서 준비하면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얻을 수 있다.

최근 국내 증시에 대한 부정적인 분석과 예측이 많은 게 사실이다. 내년에도 경기 둔화가 이어지면서 일본의 ‘잃어버린 20년’과 같은 장기 침체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많다. 구체적인 국내 증시 전망은 ▲내년에도 한국 경제의 부진으로 추가적인 주가 하락이 예상되고 ▲미중 무역분쟁의 불확실성에 따라 변동성이 더 확대될 가능성이 크고 ▲수급 부진에 따라 주가가 오를 모멘팀이 없다는 것 등이다.

하지만 국내 증시를 이 정도로 비관적으로만 볼 이유는 없다. 몇 년째 박스권에 갇혀 있는 국내 증시는 예측이 무의미할 수도 있지만, 지금 이 시점에서 국내가 아닌 해외 투자만이 정답이 될 수도 없다. 맹목적인 해외 투자는 환 리스크에 노출될 수 있고, 이미 고평가된 기업들의 주식만 사들이는 ‘타이밍의 오류’에 빠질 수도 있어서다.

국내 증시에도 긍정적인 요소가 존재한다. 올 3분기부터 원화가 강세를 보여 외국인 투자자가 다시 대형주 위주로 주식을 사고 있다. 미중 무역분쟁도 최근 해결 양상을 보이고 있다. 현 시점에서는 국내와 해외 주식의 투자 비중을 7대3 정도로 설정하는 전략을 추천한다. 대내외 환경이 어수선해서 변동성은 계속되겠지만 국내 증시가 지나치게 억눌려 있는 만큼 지금이 남들과 다른 역발상으로 국내 주식 투자 비중을 늘려 높은 수익률을 얻을 수 있는 적기가 될 수 있다.

한국투자증권 순천지점 영업팀장
2019-11-14 2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