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소상공인·中企 전담창구 열고 최대 5억 긴급 지원

코로나 소상공인·中企 전담창구 열고 최대 5억 긴급 지원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20-07-12 17:56
업데이트 2020-07-13 01: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회적 약자 적극 보듬는 하나금융

이미지 확대
하나금융그룹은 하나은행을 필두로 코로나19 확산으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 금융 지원에 힘을 쏟고 있다. 자산은 없지만, 기술력이 있는 중소기업에 대출해 주는 기술금융이나 혁신금융을 확대하는 것이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것이 금융회사의 역할이라는 판단에서다.

하나은행은 코로나19가 확산하기 시작한 지난 3월 신속한 금융 지원을 위해 전 영업점에 코로나19 금융지원 전담 창구를 운영하기 시작했다. 또 코로나19로 인해 피해를 본 중견·중소기업·개인사업자에 대해 영업점의 재량으로 피해 기업으로 판단되면 업체당 최대 5억원까지 긴급 경영안정자금을 지원했다.

하나은행은 지난 5월부터 시작한 소상공인 2차 금융지원대출의 금리를 최고 연 2.9%로 설정하기도 했다. 이는 지난달 말까지 대출이 취급(실행)되는 경우에 적용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소상공인에 대한 실질적인 금융 지원을 위한 결정”이라면서 “소상공인 지원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금융상품과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하나은행 노사는 지난달에 2019년 임금·단체협상을 타결하고 코로나19 극복과 상생을 위한 노사 공동선언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공동선언문에는 사회적 약자에게 기부하기 위한 노사공동기금을 조성하고,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 지원에도 적극 동참하는 내용이 담겼다. 지성규 하나은행장은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사회적 책임을 다하도록 노사가 힘을 모으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하나저축은행도 지난 3월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과 저소득층을 지원하기 위한 긴급생활안정자금 지원 대출상품인 ‘행복론 119’를 출시했다. 해당 상품을 이용하면 만 20세 이상 개인이 기존 신용대출상품보다 연 2.0% 포인트 인하된 금리로 최고 500만원까지 빌렸다. 하나저축은행은 행복론 119 한도가 소진되자 ‘원큐이지론’을 출시해 소상공인과 저소득층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20-07-13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