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수천억 날린 옵티머스·라임, 무경력자가 돈 굴렸다

[단독] 수천억 날린 옵티머스·라임, 무경력자가 돈 굴렸다

신융아 기자
신융아 기자
입력 2020-10-09 01:02
업데이트 2020-10-09 06: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옵티머스, 3명 중에 1명만 1년 운용 경력
2명은 경력 없거나 퇴직해서 확인 못해
라임, 8명 가운데 절반 경력 없는 상태
알펜루트도 2명 1년 4개월·5개월 그쳐

2015년 규제 완화때 운용경력 빠져 ‘허점’
“부실한 펀드 가려내고 규제 재정비해야”

라임자산운용 홈페이지 캡처
라임자산운용 홈페이지 캡처
5000억원 규모의 펀드 환매 중단 사태를 빚은 옵티머스자산운용을 비롯한 문제의 사모펀드들이 운용 전문인력도 갖추지 않은 채 투자자들로부터 수천억원대의 투자금을 모아 운용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10월 사모펀드의 운용 요건에서 운용 경력이 빠지면서부터인데, 곳곳에서 제도상의 허점이 드러나고 있다.

8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정문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옵티머스는 3명의 운용 전문인력 가운데 운용 경력이 있는 사람은 1명뿐이었고 그나마 경력이 1년에 불과했다. 나머지는 운용 경력이 아예 없거나 퇴직해 확인할 수 없었다.

환매가 중단된 다른 사모펀드 운용사들도 비슷했다. 1조 6000억원대 손실이 난 라임은 8명의 운용 인력 가운데 절반이 운용 경력이 없는 상태였다. 2300억원대에서 환매가 중단된 알펜루트도 운용인력 4명 중 2명은 경력이 1년 4개월, 5개월에 그쳤다.

펀드 운용사에서 운용 인력은 펀드에 어떤 상품을 편입시킬지를 심사하고, 시장 상황에 따른 상품의 수익성과 위험성을 관리하는 핵심 인력이다. 이 때문에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운용 경력을 볼 때 실제 운용해 본 기간과 운용 잔고를 중요한 요소로 꼽는다. 그런데 수천억원의 투자금을 굴리면서 이처럼 적은 인원에 경력마저 전무했다는 건 리스크 관리가 제대로 이뤄질 수 없었음을 보여준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수천억원 규모를 다룬 옵티머스가 운용 인력이 3명밖에 없었다는 건 최소 요건만 맞춘 것으로 터무니없이 적은 수”라고 지적했다.

이 같은 부실 펀드의 배경에는 2015년 사모펀드 설립 문턱이 낮아지면서 수백 개의 사모펀드가 우후죽순 생겨난 데 있다. 동시에 운용 규제까지 완화되면서 운용 경력이 없는 금융사 직원도 펀드 운용 인력에 이름을 올릴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전에는 최소 2년 이상의 운용 경력이 있어야 했다.

한 대형 증권사의 운용 전문가는 “사모펀드가 전문 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상품임을 감안하더라도 요건이 지나치게 완화됐다”면서 “리스크 관리를 위해서는 운용 인력 자격을 다시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박근혜 정부 시절 금융위원회가 사모펀드 규제를 대폭 완화한 결과 말만 전문 인력일 뿐 운용 경력도 없는 직원들이 운용하게 됐고, 이 같은 부실 사태는 예고됐던 것”이라며 “건강한 자본시장을 조성하려면 규제를 피하기 위해 사모로 둔갑한 펀드들을 가려내고 규제를 재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20-10-09 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