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 “돈은 써야 제맛”…노년층 “돈 모아야 제맛”

청년층 “돈은 써야 제맛”…노년층 “돈 모아야 제맛”

유대근 기자
입력 2021-03-29 17:56
업데이트 2021-03-30 1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똑똑해진 동학개미…미래 대비는 낙제점

韓 금융이해력 OECD 평균 웃돌아
작년 주식 열풍에 금융지식 7.5점↑
“은퇴 준비에 자신있다” 14.2% 불과
이미지 확대
우리나라 성인들의 금융 이해 정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0개국 평균을 웃도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동학개미운동(코로나19 여파로 급락한 장에서 불어닥친 개인들의 주식투자 열풍) 등으로 금융 공부를 시작한 이들이 늘어난 게 영향을 미쳤다. 또 청년층은 저축보다는 소비를 선호하는 반면 나이가 들수록 저축하려는 태도가 강해졌다.

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이 29일 발표한 ‘2020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성인의 금융 이해력 점수는 66.8점으로 OECD 10개국 평균(2019년 조사) 62점보다 높았다. 비교 대상국은 독일·이탈리아·오스트리아·포르투갈·폴란드·헝가리·체코·슬로베니아·에스토니아·콜롬비아다. 금융 이해력은 ▲금융 지식(합리적 금융 생활을 위해 갖춰야 할 지식) ▲금융 행위(건전한 금융·경제생활을 위한 행동 양식) ▲금융 태도(현재보다 미래를 대비하는 의식) 3개 분야에 나눠 측정했다. 국내 조사는 지난해 8월 10일부터 10월 30일까지 전국 만 18∼79세 개인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한국인의 금융 이해력 점수는 2년 전인 2018년 조사(62.2점) 때와 비교해 4.6점 높아졌다. 2018년에는 OECD 평균(64.9점)을 밑돌았다. 한은 측은 주식 붐으로 금융·경제 관련 기사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는 등 시대상이 조사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했다.

실제로 금융 이해력 3개 항목 가운데 금융 지식 점수(73.2점)는 2018년(65.7점)보다 7.5점이나 뛰었다. 또 금융행위 점수도 2년 사이 59.9점에서 65.5점으로 5.6점 높아졌다.

반면 미래 대비와 관련된 금융 태도 점수(60.1점)는 오히려 2년 전보다 1.2점 떨어졌다. 특히 청년층(18∼29세)의 경제·금융 차원의 미래 준비가 부족했다. 청년층은 저축보다 소비를 선호하는지 묻는 질문에 ‘선호한다’고 답했고, ‘그렇지 않다’는 답은 26%에 머물렀다. 반면 노년층에서 ‘저축보다 소비를 선호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25.1%로 ‘반대’로 응답한 비율(39.4%)보다 낮았다.

또 전체 응답자 중 ‘장기 재무목표를 갖고 있다’고 답한 비율이 42.4%로 절반을 밑돌았고 ‘은퇴 준비에 자신이 있다’고 답한 비율은 14.2%에 불과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2021-03-30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