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금융권 가중평균금리 통계
주담대 0.12%P 올라 연 4.16%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30/SSI_20220830182733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30/SSI_20220830182733.jpg)
한은이 30일 발표한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가중평균금리(신규 취급액 기준)는 한 달 전보다 0.29% 포인트 오른 연 4.52%로 집계됐다. 이는 2013년 3월(연 4.55%) 이후 9년 4개월 만에 가장 높다.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연 4.16%로 한 달 사이 0.12% 포인트 올라 2013년 1월(연 4.17%)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신용대출 금리는 연 5.91%로 연 6%를 찍었던 6월보다 0.09% 포인트 떨어졌다. 한은 측은 “전반적으로 코픽스 등 단기 지표금리가 오르면서 가계대출 금리가 상승했다”며 “하지만 신용대출의 경우 씨티은행 관련 대환대출 등에 은행들이 우대금리를 적용해 소폭 낮아졌다”고 밝혔다.
금리 인상이 예고되면서 앞으로도 대출금리가 오를 전망이지만 가계대출 가운데 고정금리 비중은 6월보다 0.6% 포인트 줄어든 17.8%에 그쳤다. 기업대출까지 포함한 예금은행의 전체 대출금리(신규 취급액 기준)는 연 4.21%로 한 달 사이 0.31% 포인트 올랐고 저축성수신금리는 연 2.93%로 0.52% 포인트 높아졌다. 두 수치를 뺀 예대금리차는 한 달 전보다 0.21% 포인트 줄어든 1.28% 포인트로 나타났다. 지난 22일 시작된 예대금리차 공시를 앞두고 은행들이 대출금리를 일부 조정한 데다 이례적으로 기준금리 인상분을 예적금 금리에 빠르게 반영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잔액 기준 예대금리차는 2.38% 포인트로 한 달 전보다 0.02% 포인트 줄었다.
은행 외 금융기관 가운데는 상호저축은행의 1년짜리 정기예금 금리(신규 취급액 기준)가 연 3.37%로 한 달 사이 0.19% 포인트 올랐고, 일반대출 금리는 같은 기간 0.74% 포인트 오른 연 10.53%로 집계돼 예대금리차는 7.16% 포인트 수준이다.
2022-08-31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