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사회공헌 주도하는 한국 기업

中 사회공헌 주도하는 한국 기업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7-11-07 23:16
업데이트 2017-11-08 01: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외자기업 중 사회책임지수 ‘최고’

중국 진출 외자기업 중에서 사회공헌을 가장 많이 한 곳은 한국 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허베이성의 삼성희망 소학교 어린이들이 삼성이 지원한 스마트기기로 공부하고 있다. 중국삼성 제공
중국 허베이성의 삼성희망 소학교 어린이들이 삼성이 지원한 스마트기기로 공부하고 있다.
중국삼성 제공
중국 사회과학원 기업사회책임(CSR)연구센터가 7일 발표한 기업사회책임발전지수에 따르면 한국 기업들의 평균 지수가 72.5로 가장 높았다. 이어 2위 홍콩 기업(48.1), 3위 일본 기업(35.1) 순이었다. 특히 상위 10개 기업 중 4곳이 한국 기업으로 나타났다.

중국삼성은 중국 내 외자기업 중 5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전체 300대 기업 중에서는 지난해에 이어 4위에 올랐다.

현대자동차는 2년 연속 중국 자동차업계 1위를 차지했다. 외자계 순위는 중국삼성에 이어 2위다. 전체 순위는 8위로 2013년 150위→2014년 51위→2015년 27위→2016년 10위로 매년 상승해 왔다. 외자계 순위 기준으로 LG전자(3위)와 포스코(7위)도 10위권에 포진했다.

CSR연구센터는 매년 기업의 매출, 브랜드, 영향력 등을 고려해 중국 전역에서 300개 기업(국유 100개, 민영 100개, 외자 100개)을 선정해 이들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및 고용, 임직원 복지, 고객 만족, 친환경 기여 등 사회책임 이행 현황 전반을 평가하는 기업사회책임발전지수를 발표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1989년부터 농촌, 벽지 등 빈곤지역을 대상으로 미래 세대를 위한 교육환경 개선사업인 ‘희망공정’이 국가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지난해 9월 1일부터 기부 및 공익활동을 장려하는 자선법이 발효되고, 이번 19차 당대회에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2020년까지 전면적 빈곤 퇴치를 강조하는 등 기업의 사회책임 이행이 갈수록 중시되고 있다. 중훙우(鍾宏武) 사회과학원 CSR연구센터 주임은 “중국삼성은 적극적 사회공헌활동 전개 및 정보 공개 수준 제고로 중국 내 사회공헌 발전을 견인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현대차그룹도 황사 발원지 네이멍구 지역에서 사막화 방지사업을 10여년 동안 펼쳐 오고 있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7-11-08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