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약금 확 줄인 SKT…통신비 인하 경쟁 불붙었다

위약금 확 줄인 SKT…통신비 인하 경쟁 불붙었다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18-03-05 22:46
업데이트 2018-03-05 23: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남은 약정기간 따라 부담 축소…재약정 땐 할인반환금 유예도

보편요금제 압박에 낮은 자세
업계 1·3위 협공… KT ‘고심’


SK텔레콤의 ‘세상에 없던 요금제’가 구체적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약정할인 반환금을 획기적으로 낮춘 게 핵심이다. 다른 통신사들도 저마다 요금제 등을 개편하며 통신비 인하에 팔소매를 걷어붙이고 나섰다. 정부의 보편요금제 도입에 앞서 고객들에게 먼저 ‘낮은 자세’ 전략을 취하면서 포화 상태에 이른 모바일 시장을 최대한 뚫으려는 포석으로 읽힌다.
이미지 확대
업계 1위인 SK텔레콤은 5일 위약금 부담을 줄이고 약정 기간 만료 전 재약정 시 할인반환금을 일단 면제해 주는 내용의 새 약정제도를 발표했다.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이 지난달 스페인 바르셀로나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때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세상에 없던 요금제가 3월에 나올 것”이라고 예고했던 그 제도다. 지금은 약정 기간이 끝나기 전에 해지하면 그동안 할인받은 금액을 모두 토해 내야 한다. 만료일이 다가올수록 반환금 액수도 커진다. 그 기간만큼 할인액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하지만 앞으로는 ‘받은 할인액’이 아니라 ‘남은 약정 기간’ 기준으로 계산 방식이 바뀐다. 이에 따라 약정 기간을 절반 채우면 그때부터 할인반환금이 대폭 줄기 시작해 약정이 끝나는 시점엔 0원이 된다. 예컨대 월 6만 5000원대 밴드 데이터 요금제로 24개월 선택약정을 한 고객이 23개월 때 해지하면 지금은 15만 1800원을 토해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만 1083원만 내면 된다. 부담이 약 7분의1로 줄어드는 셈이다.

또 선택약정 고객이 기간이 끝나기 전에 재약정을 할 경우 할인반환금을 남은 기간에 상관없이 유예해 주기로 했다. 이는 업계 3위인 LG유플러스가 지난 1월 먼저 도입한 제도다.

업계 2위인 KT도 바빠지기 시작했다. 지난달부터 약정제도와 할인요금제 개편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1, 3위가 본격적으로 요금제에 손을 대며 ‘협공’에 나선 만큼 조만간 KT도 대응책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통신사들은 이미 로밍 요금 할인, 맞춤형 요금제 추천 등 가입자 사수에 ‘올인’하고 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요금 할인을 포함해 고객 혜택을 확대하는 조치를 연내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로밍 요금에서 기존 분 단위 과금을 초 단위로 바꾸고, 첫 통화요금을 면제해 주는 안 등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보편요금제 도입 압박 등과 별개로 업계 스스로 가계 통신비 절감과 관련해 할 수 있는 성의 표시를 (고객들에게) 해야 한다는 생각이 강하다”면서 “모바일 시장은 더이상 가져갈 가입자가 없어 경쟁이 무의미하다는 시각도 있지만 요금제 개편으로 최대한 ‘이삭줍기’를 하려는 측면도 있다”고 말했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8-03-06 1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