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웃고’ 롯데 ‘울고’

신라 ‘웃고’ 롯데 ‘울고’

김희리 기자
김희리 기자
입력 2018-05-16 21:26
업데이트 2018-05-16 22: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면세점업계 1분기 실적 보니

지난해 중국의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으로 진통을 앓던 면세점업계가 올해 1분기 실적을 두고 희비가 엇갈렸다. 신라와 신세계는 역대 최대 분기별 실적을 경신한 반면 사드 보복의 직격탄을 맞은 업계 1위 롯데는 피해를 완전히 회복하지 못한 모양새다.

●신라 영업이익 476억… 분기 ‘최고’

신라면세점은 올해 1분기 매출 1조 143억원, 영업이익 476억원을 달성했다고 16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9.6%, 영업이익은 181.7% 각각 늘었다. 분기 실적으로 역대 최대 수준이다.

해외시장 진출이 성과를 내면서 성장을 견인했다는 것이 신라면세점 측의 설명이다. 특히 지난해 12월 12일 영업을 시작한 홍콩 첵랍콕 국제공항면세점이 이 기간 매출 942억원, 당기순이익 11억원으로 영업 첫 분기에 곧바로 흑자를 내는 등 좋은 성적을 내고 있다. 신라면세점 측은 현재 일부 브랜드만 운영 중인 첵랍콕 공항면세점이 다음달 정식 개장하고 나면 올해 해외 연매출 1조원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고급화 전략’ 신세계 흑자 전환 성공

면세사업을 운영하는 신세계DF도 같은 기간 매출 3395억원, 영업이익 236억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면세업계 후발주자지만 루이비통, 카르티에 등 해외 명품 브랜드 입점에 성공하면서 고급화 전략이 주효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사드 보복 직격탄 롯데는 36% 감소

한편 업계 1위 롯데면세점은 올해 1분기 매출이 연결 기준 1조 269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15%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249억원으로 약 3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드 여파로 중국인 단체관광객이 사라진 자리를 보따리상이 대체하면서 매출은 늘었지만 수수료 부담 증가 등으로 이익이 감소했다는 분석이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2018-05-17 1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