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변화에 대응하는 AI·로봇 등 미래 사업 투자

LG전자, 변화에 대응하는 AI·로봇 등 미래 사업 투자

김민석 기자
김민석 기자
입력 2018-08-27 17:20
업데이트 2018-08-27 17: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관람객들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18에서 LG 클로이 로봇 3종을 살펴보고 있다.  LG전자 제공
관람객들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18에서 LG 클로이 로봇 3종을 살펴보고 있다.
LG전자 제공
LG전자는 인공지능, 로봇, 자동차부품 등 미래 성장사업에 인프라 투자를 강화하며 외부 환경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계획이다. LG전자는 지난해 6월 최고기술책임자(CTO) 산하 소프트웨어센터에 인공지능연구소를 신설하고 인공지능 제품·서비스 개발에 필수적인 기술을 연구개발하고 있다. 캐나다 토론토에 ‘토론토 인공지능연구소’를 열고 다음달부터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간다.

LG전자는 인공지능 분야에서 오픈 플랫폼, 오픈 파트너십, 오픈 커넥티비티 등 개방형 전략을 추진해 강력한 솔루션을 갖춘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정보기술(IT),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구글, 아마존, 네이버 등 국내외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인공지능 분야에서 협력하고 있다.

로봇 사업도 미래 사업의 한 축으로 삼고 있다. LG전자는 인공지능, 자율주행 기술 등을 바탕으로 로봇 제품군을 꾸준히 확대하며 로봇 사업에 가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인천국제공항과 스타필드 하남에서 로봇 서비스를 시작한 데 이어 지난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18에서는 호텔서비스 로봇, 카트 로봇 등 다양한 로봇을 선보이는 등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LG전자는 국내 산업용 로봇 제조업체 로보스타의 지분 30%를 취득해 경영권을 인수했고, 최근 미국 로봇개발업체인 ‘보사노바 로보틱스’에 300만 달러를 투자했다. 지난해부터 웨어러블 로봇 스타트업인 에스지로보틱스와 기술협력을 해 오고 있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2018-08-28 1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