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가 이끄는 현대차 ‘사무직 노조’

MZ세대가 이끄는 현대차 ‘사무직 노조’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21-04-25 21:04
업데이트 2021-04-29 07: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늘 고용노동청에 설립신고서 제출
입사 8년차 이하 500여명 가입 의사
성과급 불만 토로… 작년 영업익 감소
정의선, 美 전기차 시장 점검 후 귀국

이미지 확대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현대자동차그룹 내 사무직 노동조합 결성이 현실화됐다. 현대차그룹 내 생산직이 포함되지 않고 사무직 직원 만으로 구성된 노조가 탄생하는 건 처음이다. 올해 연봉을 줄줄이 인상한 게임·정보기술(IT) 업계와는 대조적으로 기본급과 성과급을 많이 올려받지 못하면서 쌓인 사무직들의 불만이 노조 결성으로까지 이어진 것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 사무직 직원으로 구성된 ‘현대차그룹 인재존중 사무연구직 노동조합’은 26일 서울지방고용노동청에 노조 설립신고서를 제출한다. 노조 설립을 지원하는 대상노무법인 김경락 대표노무사는 “지난 24일 노조 준비위원회와 설립총회를 열고 26일 오전 설립신고서를 제출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신고서 제출 이후 3일 이내로 노조 설립 필증이 나오면 현대차그룹 사무직 노조는 정식으로 노조법상 권리를 행사할 수 있게 된다.

신설 노조는 우선 회사 단위가 아닌 그룹 차원의 노조로 설립된다. 집행부는 현대케피코, 현대제철, 기아 소속 직원들로 구성됐다. 노조 위원장은 현대케피코 소속 20대 직원인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 가입 의사를 밝힌 직원 수는 현재 500여명으로 희망자 대다수 입사 8년차 이하 20~30대인 것으로 전해졌다. 신설 노조에 가입하려면 기존 노조에서는 탈퇴해야 한다.

앞서 현대차그룹 사무직 직원들은 올해 기본급과 성과급이 많이 오르지 않았다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네이버 밴드에 모여 불만을 토로했다. 밴드 가입자 수는 4500여명에 달한다. 이들은 생산직 노동자가 주축인 노조가 임금협상에 나서고, 지난해 협상에서 임금동결에 합의한 것에 반대하며 사무직 노조 결성을 추진했다.

현대차는 지난해 코로나19로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22.9%, 매출은 1.7% 줄었다. 이런 ‘2030세대’ 중심의 사무직 노조 설립 움직임은 지난달 LG전자를 시작으로 현대차를 비롯해 금호타이어, 넥센타이어 등으로 확산하는 모습이다.

한편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내달 말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을 한 달 앞둔 시점에 미국 전기차 시장을 직접 둘러보고 나서 지난 24일 귀국했다. 정 회장은 앨라배마주 현대차 공장을 찾아 최근 출시한 전용 플랫폼(E-GMP) 전기차 ‘아이오닉 5’를 생산할 여건을 갖췄는지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현대차가 미국 현지에서 전기차를 생산하려면 노조와 협의를 거쳐야 해 당장 추진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노조 측은 오히려 해외 일감을 국내로 돌려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이영준 기자 the@seoul.co.kr
2021-04-26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