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의 꽃 피었습니다…희망의 싹 키웠습니다

상생의 꽃 피었습니다…희망의 싹 키웠습니다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21-05-25 20:30
업데이트 2021-05-26 02: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직 코로나19의 긴 터널을 빠져나오지 못하고 적자에 허덕이는 기업이 적지 않다. 반도체 부족 사태까지 겹치면서 기업들의 시름은 날로 깊어가고 있다. 하지만 이런 어려운 경영 환경 속에서도 기업들이 놓지 않는 끈이 하나 있다. 바로 ‘상생경영’이라는 가치다. 기업들은 내부적으로 경영 사정이 좋지 않아도 힘든 내색 하지 않고 더 열악한 협력사를 돕는 데 물심양면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소외계층, 취약계층을 위한 물품 지원에도 여념이 없다.

기업의 상생경영은 사람이나 기업과의 공생만을 의미하진 않는다. 재생에너지 사용을 늘리고,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고, 폐배터리를 재활용하고, 탄소 배출을 줄이는 등 환경을 살리기 위한 활동도 ‘상생경영’의 범주에 포함된다. 기업이 상생경영에 몰두하는 이유는 두 가지다. 1차적으로는 기업이 사회로부터 벌어들인 이윤을 다시 사회에 환원해 기업의 사회적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장수 기업’이 되는 것이 기업의 궁극적인 목표라 할 수 있다. 기업별로 추진하는 다양한 상생경영 실천 사례를 살펴본다.

이영준 기자 the@seoul.co.kr



2021-05-26 1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