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5년까지 수소·암모니아 발전 상용화가 추진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 전남 나주 한국전력 본사에서 한전, 발전공기업과 함께 ‘수소·암모니아 발전 실증 추진단’을 발족했다.
수소·암모니아 발전은 수소(H2)와 암모니아(NH3)를 태워 전력을 생산하는 새로운 기술이다. 석탄발전기와 액화천연가스(LNG) 발전기, 송배전 선로 등 기존 전력 인프라를 이용할 수 있다. 암모니아는 석탄, 수소는 LNG를 대체할 수 있어 온실가스 발생량을 줄일 수 있다. 수소·암모니아 발전 실증 추진단에는 산업부와 전력공기업, 관련 민간기업이 참여한다.
추진단은 2024년까지 가스터빈 수소 혼소(혼합연소) 한계평가 및 연소 최적화 기술개발, 탄소 배출이 없는(Carbon-Free) 친환경 암모니아 발전 기술개발 등의 연구개발(R&D)을 마칠 계획이다. 국내 석탄·LNG 발전을 대상으로 수소·암모니아 혼소·전소 발전 상용화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수소 발전은 2028년 150㎿급 50% 혼소 실증 완료, 2035년 30% 이상 혼소 상용화, 2040년 30∼100% 혼소 또는 전소를 단계별 목표로 세웠다.
암모니아 발전은 2027년까지 20% 혼소 실증을 완료하고, 2030년에는 전체 석탄발전(43기)의 절반 이상(24기)에 20% 혼소 발전을 상용화할 계획이다.
산업부에 따르면 미국은 이달부터 오하이오주에서 수소 혼소 실증에 돌입했고, GE는 485㎿급 수소 15∼20% 혼소 실증을 진행 중이다. 일본도 신형 LNG발전에 수소 30% 혼소 실증 테스트를 마쳤다. 가와사키중공업은 1㎿ 수소 전소 실증을 완료했다.
수소·암모니아 발전은 수소(H2)와 암모니아(NH3)를 태워 전력을 생산하는 새로운 기술이다. 석탄발전기와 액화천연가스(LNG) 발전기, 송배전 선로 등 기존 전력 인프라를 이용할 수 있다. 암모니아는 석탄, 수소는 LNG를 대체할 수 있어 온실가스 발생량을 줄일 수 있다. 수소·암모니아 발전 실증 추진단에는 산업부와 전력공기업, 관련 민간기업이 참여한다.
추진단은 2024년까지 가스터빈 수소 혼소(혼합연소) 한계평가 및 연소 최적화 기술개발, 탄소 배출이 없는(Carbon-Free) 친환경 암모니아 발전 기술개발 등의 연구개발(R&D)을 마칠 계획이다. 국내 석탄·LNG 발전을 대상으로 수소·암모니아 혼소·전소 발전 상용화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수소 발전은 2028년 150㎿급 50% 혼소 실증 완료, 2035년 30% 이상 혼소 상용화, 2040년 30∼100% 혼소 또는 전소를 단계별 목표로 세웠다.
암모니아 발전은 2027년까지 20% 혼소 실증을 완료하고, 2030년에는 전체 석탄발전(43기)의 절반 이상(24기)에 20% 혼소 발전을 상용화할 계획이다.
산업부에 따르면 미국은 이달부터 오하이오주에서 수소 혼소 실증에 돌입했고, GE는 485㎿급 수소 15∼20% 혼소 실증을 진행 중이다. 일본도 신형 LNG발전에 수소 30% 혼소 실증 테스트를 마쳤다. 가와사키중공업은 1㎿ 수소 전소 실증을 완료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