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중앙회가 추석 자금 수요를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26.2%가 자금 사정이 곤란하다고 답했다고 29일 밝혔다. 원활은 21.6%, 보통은 52.2%였다.
작년 추석을 앞두고 시행한 조사에서 응답 기업의 55.8%가 자금 사정이 어렵다고 응답한 것과 비교하면 올해 중소기업의 자금 사장이 나아진 분석된다.
수출기업(19.6%)보다는 내수기업(27.0%)에서 자금사정 곤란 응답이 많았다.
자금 사정이 어려운 이유(복수응답)는 ▲판매·매출 부진이 67.4%로 가장 많았고 ▲원·부자재 가격 상승(58.1%) ▲인건비 상승(33.5%) ▲납품대금 단가 동결·인하(11.0%) 등의 순이었다.
금융기관 거래 시 애로사항으로는 ‘고금리’(53.1%)가 가장 많았는데 이는 지난해(29.0%)보다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올해 추석에 중소기업들이 필요한 자금은 평균 1억 5730만원이고 이중 부족한 자금은 평균 2170만원으로, 필요자금 대비 부족률은 13.8%였다.
부족한 추석 자금 확보계획에 대해서는 ▲납품대금 조기회수(47.4%) ▲결제연기(28.4%) ▲금융기관 차입(23.7%) 등을 계획하고 있다고 응답했고, ‘대책없음’은 24.2%였다.
추석 상여금의 경우 응답기업의 37.3%만 지급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상여금을 정률로 지급하는 업체는 기본급의 평균 50.0%, 정액으로 주는 업체는 평균 40만 2000원을 지급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을 위해 금융비용 부담 완화와 같은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