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 대신 키오스크 뽑는다… ‘1인 자영업’ 14년 만에 최다

알바 대신 키오스크 뽑는다… ‘1인 자영업’ 14년 만에 최다

박기석 기자
박기석 기자
입력 2022-08-30 02:02
수정 2022-08-30 02: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플랫폼 노동·은퇴자 창업 증가
1년새 5만 늘어 434만명 달해

이미지 확대
지난 7월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 수가 433만 9000명으로 42개월 연속 증가 기록을 세운 가운데 29일 서울의 한 카페에 무인주문기(키오스크)가 설치돼 있다. 안주영 전문기자
지난 7월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 수가 433만 9000명으로 42개월 연속 증가 기록을 세운 가운데 29일 서울의 한 카페에 무인주문기(키오스크)가 설치돼 있다.
안주영 전문기자
유급 직원 또는 아르바이트생을 두고 있지 않은 자영업자 수가 지난달 42개월 연속 증가하면서 14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배달 라이더 등 플랫폼 기반 노동자와 은퇴 인구의 증가, 무인주문기(키오스크) 도입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이미지 확대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서 지난 7월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 수는 433만 9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만 9000명, 1.1% 늘어난 것으로 29일 집계됐다. 같은 달 기준 2008년 456만 7000명 이후 가장 많았다. 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은 2019년 2월부터 42개월 동안 증가세를 이어 갔으며, 7월 기준으로 보면 2008년 456만 7000명에서 2018년 404만 2000명까지 줄었다가 이후 연속 증가했다.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자기 혼자 또는 무급가족종사자와 함께 독립적인 형태로 전문적인 업을 수행하거나 사업체를 운영하는 사람이다.

전체 자영업자 중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의 비중은 2018년 7월 70.9%에서 올해 7월 76.2%로 늘었다. 반면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의 비중은 같은 기간 29.1%에서 23.8%로 줄었다.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에 속하는 배달 라이더 등 플랫폼 노동자,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의 은퇴에 따른 60대 이상 자영업자가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의 증가를 이끈 것으로 분석된다.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 중 운수 및 창고업 종사자의 비중은 2018년 7월 13.9%에서 올해 7월 16.4%로 증가했다.

전체 자영업자 수는 감소했지만 60대 이상 자영업자 수는 오히려 증가했다. 전체 자영업자는 2018년 7월 570만 1000명에서 올해 7월 569만 1000명으로 0.2% 줄었다. 반면 60대 이상 자영업자는 같은 기간 165만 4000명에서 204만 8000명으로 23.8%, 60대 이상의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138만 9000명에서 176만 5000명으로 27.1% 늘었다. 아울러 무인주문기 도입, 배달앱 이용, 서빙 로봇의 활용 등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자영업자가 유급 직원을 고용하지 않는 경향이 강해진 것으로 보인다.

2022-08-30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