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내외 악재에 코스닥 ‘비실비실’…5일째 하락

대내외 악재에 코스닥 ‘비실비실’…5일째 하락

입력 2015-12-10 11:52
업데이트 2015-12-10 15: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FOMC 앞두고 위험자산 회피심리 커져…세제 개편도 부정적”

코스닥이 대내외 악재에 연일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을 앞두고 위험자산 회피심리가 커지면서 중소형주의 변동성이 한층 더 확대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대내적으로는 주식 양도소득세에 대한 세제 개편 변수까지 더해진 탓이다.

10일 코스닥지수는 전날보다 0.90% 내린 658.08을 나타냈다.

이로써 코스닥지수는 지난 4일부터 연속 5거래일째 내림세를 지속했다.

이 기간 코스닥지수는 4.73% 떨어졌다. 같은 기간 2.11% 하락한 코스피보다 더 강도 높은 조정을 받은 셈이다.

무엇보다 이달 미국이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이라는 관측이 기정사실화되며 코스닥 시장의 투자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오는 15∼16일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열어 2008년 12월 이후 유지해온 사실상 제로(0) 수준의 기준금리를 7년 만에 인상할지를 결정한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그간 유동성과 성장 기대감에 많이 올랐던 고밸류에이션(평가가치) 종목들이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특히 기관들이 연말 회계결산(북클로징·Book Closing)을 앞두고 변동성 우려가 큰 중소형주들을 집중 처분 중인 것으로 보인다.

이달 들어 기관은 코스닥시장에서 1천123억원어치를 팔아치우며 시장 하락세를 주도했다. 같은 기간 외국인은 1천43억원, 개인은 507억원어치를 사들이며 기관의 매물을 받아내고 있다.

김용구 삼성증권 연구원은 “중소형주나 코스닥은 펀더멘털(기초체력)보다 성장 기대감으로 밸류에이션을 높게 적용받는 측면이 있어 유동성 축소가 나타나는 금리 상승기에는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나타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김정현 IBK투자증권 연구원도 “미국 금리 인상 시기와 맞물려 신흥국 경기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이는 위험자산 회피 심리를 키우기 때문에 코스피보다 코스닥에 더 심리적인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내년부터 주식에 대한 양도소득세 부과 기준이 강화되는 것도 코스닥 시장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일반 투자자와 달리 대주주는 증권거래세와 농어촌특별세 이외에 양도소득세가 부과되는데, 내년부터는 중소기업 주식에 대한 양도소득세율이 상향 조정(10%→20%)되고 대주주의 범위도 확대될 예정이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대주주 기준이 현행 4%에서 2%로 확대되고 유가증권 시장에서도 기존 2%가 1%로 바뀐다.

개인투자자가 많은 코스닥시장에서 양도소득세의 강화는 매도세를 키울 수 있다.

김영환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양도소득세를 피하고자 하는 대주주들은 오는 28일 이전에 보유 주식을 개정 요건 이하로 줄여야 한다”며 “소득세법 개정은 12월 중순 이후 코스닥시장의 매도 압력을 높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