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女談餘談] 천안함이란 상처/백민경 사회부 기자

[女談餘談] 천안함이란 상처/백민경 사회부 기자

입력 2010-05-22 00:00
업데이트 2010-05-2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엄마는 TV를 보고 눈물을 훔치셨다. 평택에 출장갔던 나도 실종자 가족을 인터뷰하며 때때로 울컥 올라오는 눈물을 삼켰다. 천안함 희생자들은 그렇게 유족뿐 아니라 모두의 아픔이 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미지 확대
백민경 사회부 기자
백민경 사회부 기자
두 달 가까운 시간동안 전국민을 비통함에 잠기게 했던 천안함 침몰 원인이 20일 발표됐다. 결과는 ‘북한의 소행’이었다.

북한의 만행이 밝혀진 직후 강력대응을 주창하는 정부의 단호한 의지도, 해외 공조를 통한 대북 제재도, 유족들의 크나큰 슬픔을 어루만져 주기엔 역부족일 것이다.

천안함 실종자 수색에 나섰다가 서해 대청도 해역에서 침몰한 금양98호 취재 때도 그랬다. 실종자들만, 그리고 가족들에게만 너무나 아픈 현실이었다. 수색작업도, 장례식도 썰렁할 뿐이었다.

그곳에서 평택에 있을 때 당시 실종자가족들 숙소 잠입(?)에 성공했던 한 후배를 만나 가족들의 상황을 전해들었다. 그들은 기자인 걸 알면서도 해군 측에 숨기고 가족으로 받아줬다고 전했다. 처음에는 이야기를 들어주는 것만으로도 고마워서였다고 했다. 기댈 곳 없다는 두려움이, 가족을 잃을지 모른다는 불안함이, 시간이 들면서 차츰 쌓여가는 정이 기자와 가족들을 묶어준 것 같다고 후배는 말했다.

해군이 기자들을 찾느라 이곳저곳을 둘러볼 때면 노트북을 숨겨주고 신호로 알려주기까지 했다고 전했다. 밖으로 나온 이후에도 확인 안 된 소식이나 인터넷에 악플이 달렸다는 이야기를 들으면 전화해서 진위여부를 파악해 줄 수 있느냐고 조심스레 묻는다고 했다. 그만큼 그들이 힘들었다는 방증일 거라고 나는 생각한다.

그래서인지 나는 천안함 사건에 있어서 ‘왜, 누가’라는 생각보다는 가족들을 먼저 떠올린다. 5월에 예식장 잡아놨다며 말을 잇지 못하던 한 아버지와 한번만 아들을 더 보고 싶다고 절규하던 어머니들을…. 지금 그들의 심정이 어떨지, 아픔이 얼마나 깊을지 짐작도 가지 않는다.

출근하던 내 뒤로 들리던 엄마 말이 귓가에 맴돈다. “그냥 군대 보낸 죄밖에 더 있겠어. 저 부모들, 억울해서 어찌 살라고….”

white@seoul.co.kr
2010-05-22 2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