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언대] IT기술 산행 조난방지 활용 기대/이상배 국립공원관리공단 행정처장

[발언대] IT기술 산행 조난방지 활용 기대/이상배 국립공원관리공단 행정처장

입력 2010-06-23 00:00
수정 2010-06-23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번 선거 투표율은 역대 지방선거에서 두 번째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손 안의 컴퓨터라고 불리는 스마트폰으로 투표를 독려한 것이 큰 요인으로 꼽혔다.

이미지 확대
이상배 국립공원관리공단 행정처장
이상배 국립공원관리공단 행정처장
스마트폰은 국립공원을 탐방할 때도 유용하다. 흔히 산행을 하면서 초행길이라면 정상까지 얼마나 남았는지, 또 어느 길로 가야 하는지 몰라 당황하게 된다. 이럴 때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등산로 안내를 비롯, 주변의 관광정보까지 알려주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을 이용하면 편리하다.

실제로 얼마 전 스마트폰의 유용성을 확인했다. 전북지역의 백두대간 복성이재 산행길에 있었던 일이다. 새벽 3시에 남원 고속버스 터미널에 도착해 막 산행에 나섰을 때 안개가 짙게 깔려 불과 1m 앞도 분간할 수 없었다. 산행을 시작해 20분쯤 지났을까? 키를 훌쩍 넘는 진달래 군락지를 지나는데, 문득 능선길이 아닌 골짜기로 내려가는 느낌이 들었다. 그리고 그 많던 백두대간 리본조차 하나도 보이지 않았다. 알고 보니 분기점에서 안개 때문에 길을 잃고 헤매던 중이었다. 다행히 스마트폰으로 위치를 파악한 뒤 길을 찾아 무사히 산행을 마칠 수 있었다. 이처럼 스마트폰은 산행에 필요한 정보뿐만 아니라 길을 잃었을 때 위치를 파악하는 데도 유용하다.

산악지형에서는 갑작스러운 기상변화로 조난하거나 무리한 산행으로 사고가 났을 때 정확한 위치파악과 신속한 연락은 생사와 직결된다. 따라서 국립공원공단은 첨단시대에 맞게 탐방객들의 안전한 산행을 위해 서비스 개선에 팔을 걷어붙였다. 먼저 탐방객이 긴급 상황에서 이용할 수 있는 위치 안내표지판을 모든 탐방로에 설치해 놓았다. 또한 대피소 같은 피난시설의 위치가 표기된 스마트폰용 디지털지도를 제작 중이다. 스마트폰의 위성추적 길찾기 기능을 이용, 위험지역 출입시 신호음이 울리는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올 연말까지 이 모든 작업이 마무리되면 산악 안전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10-06-2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