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女談餘談] 정욕(Lust)의 나라/이재연 정책뉴스부 기자

[女談餘談] 정욕(Lust)의 나라/이재연 정책뉴스부 기자

입력 2010-07-03 00:00
업데이트 2010-07-03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불편한 얘기로 시작해야겠다. 최근 한 달 새 여자 셋이 각각 성추행당한 경험담이다.

이미지 확대
이재연 정책뉴스부
이재연 정책뉴스부
친구는 홀로 귀가하던 길, ‘그놈’이 뒤에서 달려들었다. 야심한 밤도 아니었고 너른 골목길엔 가로등도 환했다. 다만 행인이 없었을 뿐. 퇴로까지 지능적으로 계산한 그놈은 엉덩이를 만지기가 무섭게 쏜살같이 도망쳤다. 습격에 놀란 그녀는 “야, 이 변태 XX야!”라고 소리질렀지만 허사였다. 고개를 들어 확인한 근처 CC(폐쇄회로)TV는 야속하게도 하늘로 고개를 쳐들고 있었다.

그녀의 씁쓸함은 나의 지난주 출근길로 오버랩된다. 만원 지하철 안에서 내리려는 순간, 역시 뒤에서 느껴진 불편한 몸짓. 찰나였지만 분명 고의였다. 지하철 안, CCTV를 바랄 수도 없다. 1초 만에 그 넥타이맨은 인파 속으로 유유히 사라졌다.

마지막 그녀는 선배의 친구다. 자취집 현관문을 열고 들어가는 순간 웬 놈이 덮쳤다. 비명을 빽 지르자 미숙하기 짝이 없던 범인은 비틀대며 내빼더란다.

대개 이런 식이다. 불쾌한 추행의 기억들은 일상 속에서 그리 멀지 않다. 정색하고 손들어 이의를 제기하기 애매한 지점, 그곳에서 거리낌없이 행해진다.

별것 아니라며 면죄부를 얻은 이런 변태적 감성은 무럭무럭 자라난다. 그리곤 7살 여자아이도 정욕의 대상으로 바라보는 시선으로 변질된다.

여기에 경찰은 “성폭행이 완전히 이뤄지지 않았다.”며 미수 사건으로 어물쩍 대응하려다 뭇매를 맞았다. 훔쳐보는 시선과 추행엔 너그럽되 막상 폭행 사건에는 까다로운 잣대를 들이민다.

양형기준을 높인다고, 화학적 거세를 한다고들 한다. 그러나 이에 앞서 추행의 범람이 성폭행을 부추기는 사회적 분위기에 대해선 누구 하나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

영국 BBC가 발행하는 과학기술 월간지 ‘포커스’가 세계 35개국 가운데 한국을 ‘정욕(Lust)의 나라’로 꼽았다. 포르노 산업에 대한 국민 1인당 연간 지출액이 가장 높았단다. 일상 속 ‘훔쳐보기·훔쳐만지기’ 문화가 결국 ‘추행의 일상, 변태적 성폭행의 일상’으로 이어지는 건 아닌지 묻고 싶다.

oscal@seoul.co.kr
2010-07-03 2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