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방관 사회/함혜리 논설위원

[씨줄날줄] 방관 사회/함혜리 논설위원

입력 2010-07-13 00:00
업데이트 2010-07-13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64년 3월13일 새벽. 뉴욕 퀸스지역 주택가. 젊은 여인의 외마디 비명이 정적을 깼다. 야근을 마치고 귀가하던 중 자택 인근에서 괴한의 습격을 받고 사투를 벌이던 그녀는 무자비하게 난자당한 채 숨졌다. 그녀의 이름은 키티 제노비스. 당시 27살이었다. 범행시간 35분 동안 인근 아파트에서 사건을 목격하거나 비명소리를 들었다고 진술한 사람은 모두 38명이었다. 애타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아무도 제노비스를 도와주러 나오거나 경찰에 신고하지 않았다. 경찰에 신고된 것은 그녀가 사망한 지 20분이 지나서였다.

이 끔찍한 사건은 미국 사회에 큰 충격을 안겼다. 목격자들의 몰인정함에 비판의 화살이 맞추어졌다. 사회문제 전문가들은 현대 도시인들의 도덕성 결여와 소외의 결과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이런 현상이 그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일정한 심리적 법칙의 소산이라는 것이 연구결과 밝혀졌다. 뉴욕대의 존 달리, 컬럼비아대의 빕 라타네 교수는 주위에 목격자가 많을수록 책임감이 분산되면서 어려운 사람을 도와주기를 주저하게 되는 방관자 효과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주변에 여러 사람이 있을 때 개인이 나서서 돕는 행동을 할 가능성이 낮아지는 제노비스 신드롬이 나타나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다. 우선 상황이 위급한 것인지 판단이 애매할 때다. 곤경에 처한 사람이 실제 도움을 원하는지 파악하기 모호할 때에도 사람들은 도움을 주기를 주저하게 된다. 마지막으로는 책임감 분산이다. “나 말고 누군가 도와주겠지.”하는 생각에 행동을 취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우리 사회에도 제노비스 신드롬이 무섭게 번지고 있다. 친부모 없이 어렵게 살아 온 20대의 청년이 서울 송파구 잠실동 길거리에서 시비 끝에 집단 폭행 당해 뇌사상태에 빠졌다가 끝내 숨졌다. 주변에 사람이 많았지만 아무도 그를 지켜주지 않았다고 한다. 얼마전 서울 영등포에서 일어난 김수철 사건 발생 당시에도 초등생 여자 어린이가 부자연스럽게 끌려가는 것을 목격한 사람들이 있었지만 제지하지 않았다. 주변의 조그만 관심이 끔찍한 범죄를 막을 수 있지만 사람들은 외면하고 만다. 나 말고 누군가 하겠지, 행여 나에게 불똥이 떨어질까, 나중에 증인으로 경찰서에 불려가서 시간을 뺏기는 번거로움이 생길까봐, 오지랖 넓다는 소리 들을까봐서다. 범죄는 이런 무관심을 먹고 커간다. 누군가에게 미루기보다 ‘내가 먼저’ 라는 생각으로 행동에 옮기는 것이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지름길임을 명심하자.

함혜리 논설위원 lotus@seoul.co.kr
2010-07-13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