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눈] 환자가 원하는 ‘카바 수술’/이영준 사회부 기자

[오늘의 눈] 환자가 원하는 ‘카바 수술’/이영준 사회부 기자

입력 2010-10-11 00:00
업데이트 2010-10-11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카바 수술’의 안전성을 둘러싼 진실 공방이 뜨겁다. 한쪽에서는 “부작용이 크므로 중단해야 한다.”고, 다른 쪽에서는 “통계가 조작됐다. 안전하다.”고 맞받아치는 형국이다. 이런 와중에 중립성이 생명인 보건의료연구원 원장이 대한흉부외과학회 등 유관학회에 지지 성명을 언론에 내달라는 정치적 제스처까지 보여 파문이 커지고 있다. 건국대병원은 카바 퇴출에 앞장선 것으로 알려진 배종면 위원을 형사고발까지 했다. 한치의 양보도 없는 치열한 전투다.

이미지 확대
이영준 사회부 기자
이영준 사회부 기자
그러나 그런 그들이 정작 중요하게 여겨야 할 환자들은 뒷전이다. 하루하루가 절박하고 절실한 심장질환자들의 눈에 지금 벌어지고 있는 카바 논란은 ‘공염불’에 불과하다. 엉뚱한 논란으로 수술이 시급한 환자들에 대한 배려가 점차 실종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눈여겨 봐야 할 점이 있다. 논란 속에서도 카바 수술을 원하는 환자가 꾸준히 늘고 있다는 점이다. 건국대병원은 심장판막 수술이 필요한 환자들 가운데 안전성을 들어 카바수술을 기피한 환자는 단 한 명도 없었다고 밝혔다. 기존의 조직판막치환술이나 기계판막치환술은 반복되는 재수술이나 평생 혈전방지제를 복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지만, 카바 수술은 한 번 시술로 평생 걱정 없이 살 수 있다는데 이를 마다할 환자가 있을까. 당연한 얘기지만 모든 부작용을 고려한 치료선택권은 환자에게 있고, 부작용이 없는 수술이나 약품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위험보다 치료에 대한 기대치가 더 클 경우 치료를 택하는 것은 의료 이전에 상식이다.

의술의 안전성 검증에서 1~2%의 통계수치는 매우 크다. 그러나 생명이 경각인 환자에게 그 정도의 수치는 사실 치료 여부를 결정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아니다. 더구나 카바 수술을 받은 환자들이 이 치료법의 안전성을 지지하고 있다면 문제는 달라진다. 이들의 견해가 가장 중요한 임상 결과이기 때문이다. 구더기 무서워서 장 못 담가서는 안 된다.

apple@seoul.co.kr
2010-10-11 3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