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고교야구 주말리그/육철수 논설위원

[씨줄날줄]고교야구 주말리그/육철수 논설위원

입력 2010-10-28 00:00
수정 2010-10-28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고교야구는 1960년대 말~1980년대 초 국내에서 가장 인기있는 스포츠였다. 전국대회가 열리면 동대문야구장의 2만 7000여 관중석은 연일 미어졌다. 원로 야구인 J씨는 “고교야구가 열리는 날이면 입장료로 받은 현금을 마대(麻袋)로 몇 자루씩 갖다 날랐다.”면서 “그 땐 돈이 너무 많아 주체 못할 정도였다.”고 회고했다. 해마다 전국대회인 대통령배·청룡기·황금사자기·봉황대기 등이 4~8월에 걸쳐 잇따라 열렸으니 대한야구협회의 수입도 적지 않았을 것이다. 그랬던 고교야구가 1982년 프로야구 출범 이후 줄곧 내리막길을 걸어온 것은 참 아쉬운 일이다.

당시 고교야구가 인기를 끈 비결은 선수들의 투지 넘치는 플레이에 드라마보다 더 짜릿한 의외성 승부가 유난히 많아서일 것이다. 또 고교팀이 지역의 명예를 걸고 나오는 경우가 많아 특정 학교의 동문은 물론이고 출향 시민들까지 대거 응원에 동참했기 때문이다. 라디오에 의존하던 중계방송이 1967년 제1회 대통령배 대회부터는 TV로 생중계됨으로써 고교야구의 열기는 절정으로 치달았다. 지금 프로야구가 인기를 누리는 것은 고교야구의 지역연고 시스템과 열성 관중을 고스란히 이어받은 덕분일 것이다. 고교시절 이름을 날린 선수들이 한국 프로야구의 기반을 탄탄하게 다져 놓아 고교야구의 빈자리를 메워준 점은 그나마 위안이 된다.

고교야구에 대수술이 이루어질 모양이다. 전국대회와 평일 경기를 없애고 주말·공휴일·방학 때만 리그전을 벌인다고 한다. 전국 53개팀을 4개 광역권(서울·경상·전라중부·경기강원인천)으로 나누고, 광역권마다 2개 세부권역을 두기로 했다. 전반기엔 8개 세부권역 상위 3팀씩 모두 24개팀이 모여 토너먼트로 왕중왕전을 치른다. 후반기엔 동일 광역권 내 다른 세부권역 팀끼리 인터리그를 벌여 상위 3개팀이 왕중왕전에 참가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대학 특기자 선발도 팀성적이 아닌 개인성적(출전시간·타율·방어율 등) 위주로 바뀐다고 한다.

학교 체육의 정상화와 수업 결손, 성적 저하 등을 막는다는 취지에서 주말리그의 도입은 바람직하다. 다만, 야구경기가 개인기록이 뚜렷하긴 하지만 팀워크가 더 중요한 만큼 ‘팀 기여도’ 등도 세밀하고 객관적으로 계량화할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이 제도가 ‘평일 연습·주말 실전’의 결과를 가져 온다면 선수들을 지금보다 더 혹사시킬 수도 있다. 미래 한국야구의 세계적 경쟁력도 유념할 문제다.

육철수 논설위원 ycs@seoul.co.kr
2010-10-2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