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의 소리]농촌문제 상설 전문기구 필요/우병철 농협중앙회 창녕교육원 교수

[독자의 소리]농촌문제 상설 전문기구 필요/우병철 농협중앙회 창녕교육원 교수

입력 2010-11-01 00:00
수정 2010-11-01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980년대 초까지만 해도 농촌은 어딜 가나 마을 어귀에서 뛰노는 아이들을 쉽게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아이들은 물론이고 30~40대도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면 소재지에 남은 초등학교의 평균 학생수도 30~40명에 불과하다.

농촌 사람들은 고향을 지키기가 너무 힘들다고 한다. 이상기후에 농업경영비가 해마다 증가해 농산물을 팔아도 이익을 내기가 쉽지 않고, 제대로 농사를 지어도 안정적인 소득이 보장되지 않아 항상 불안하다. 농촌의 젊은 이들을 더 힘들게 하는 것은 교육이다. 일부 대학에선 고교등급제를 적용해 농촌 학생들에게 불이익을 주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누군들 농촌에서 살려고 하겠는가. 정부는 농촌이 더 이상 황폐화되지 않도록 교육문제, 인구문제, 영농후계자 양성문제 등을 종합적으로 다룰 전문기구를 만들어야 한다. 농민들도 인간다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해 주길 바란다.

우병철 농협중앙회 창녕교육원 교수
2010-11-0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3 / 5
3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