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킬링 필드/박홍기 논설위원

[씨줄날줄] 킬링 필드/박홍기 논설위원

입력 2011-06-29 00:00
수정 2011-06-29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로 죽이고 죽는 일도, 종교도 없이, 모든 사람들이 평화롭게 사는 것을 꿈꿔 보세요.’ 존 레넌의 대표곡 ‘이매진’(Imagine)이 흐른다. 캄보디아 현지인 기자 디스 프란이 생활하는 태국 국경의 수용소에 미국인 기자 시드니 쉴버그가 찾아온다. 둘은 눈물의 포옹을 한다. 프란은 캄보디아가 크메르루주 정권에 넘어간 뒤 쉴버그와 헤어져 모진 고문을 겪다 ‘죽음의 들판’을 지나 탈출했다. 1984년 제작된 롤랑 조페 감독의 영화 ‘킬링 필드’(The Killing Fields)의 마지막 장면이다.

킬링 필드는 크메르루주가 저지른 대학살로 생긴 집단 무덤이다. 500개가 훨씬 넘는다. 때문에 영화 제목도 ‘Fields’ 복수형이다. 영화는 1980년 퓰리처상을 수상한 쉴버그의 ‘디스 프란의 생과 사’를 각색, 국경과 인종을 뛰어넘는 우정과 인간애를 다뤘다. 그러나 영화는 어디까지나 영화일 뿐이다. 크메르루주의 야만과 광기를 다 담지도, 표현할 수도 없었다. 태국과 라오스 영토를 지배했던 앙코르와트의 영광을 구현했던 크메르 제국의 후예를 자처한 크메르루주는 1975년 집권해 노동자와 농민을 위한 자급자족형 농경공산주의, 지상낙원의 건설을 기치로 내걸었다.

부르주아라고 분류될 수 있는 지식인과 전문직·기술자층은 모두 죽였다. 가운데 손가락에 굳은살이 박였으면 펜을 많이 쓴 사람이라는 이유로, 손이 깨끗하면 노동자 계급이 아니라는 이유로 잔인하게 학살했다. 얼굴이 희다고, 안경을 썼다고, 피아노를 칠 줄 안다고…. 여자든, 아이든 가리지 않고 만행의 대상이 됐다. 비명소리를 덮으려고 라디오를 크게 틀어놓기도 했다. 인간이 사는 세상이라고 할 수 없었다. 1979년 베트남 침공으로 붕괴될 때까지 최소 200만명이 처형되거나 질병과 영양실조 등으로 사망했다. 전 인구의 4분의1이다. 20세기 최악의 학살극 중 하나다.

킬링 필드의 핵심 전범 4인이 어제 32년 만에 크메르루주 전범재판소(ECCC) 법정에 섰다. 정권의 서열 2위였던 누온 체아를 비롯, 이엥 사리 전 외무장관과 부인 이엥 티리트 전 내무장관, 키우 삼판 전 국가주석 등이다. 수괴 폴 포트는 1998년 사망했다. AP통신은 “독일 나치 전범들을 단죄한 뉘른베르크 재판 이후 가장 주목받은 재판”이라고 규정했다. 희생자들의 한을 풀어주고 ‘반인륜 범죄’가 재발하지 않도록 단죄해야 할 역사적 당위성을 가진 세기의 재판이다. 평화를 갈구하는 존 레넌의 노래처럼 ‘모든 사람이 평화롭게 사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서라도.

박홍기 논설위원 hkpark@seoul.co.kr
2011-06-2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