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자원들이 산업화되어 21세기를 주도하는 문화산업으로 거듭나고 있음을 요즘 우리 주변을 보며 실감하고 있다.
문화는 인간 삶의 여러 모습을 고스란히 보여 주는 것이다. 따라서 문화자원의 산업화는 먼저 우리 문화의 어떤 부분을 세일즈할 것인가 하는 고민에서부터 시작된다.
우리의 문화를 다양한 방법으로 분류하여 산업화할 수 있겠지만, 관광을 중심에 놓고 보자면 두 방향 정도에서 접근이 가능할 것이다. 바로 향토문화의 관광화와 한류문화의 관광화이다. 우리 향토문화의 관광화는 지금도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여러 나라를 여행한 경험에 비춰볼 때, 좀 더 체계적으로 개발하고 여러 형태의 패키지를 스토리텔링하여 상품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절감하게 된다.
오래전 남미를 여행할 기회가 있었다. 그때만 해도 우리나라 여행객은 거의 찾아볼 수 없었고, 대부분의 관광지는 일본이나 유럽에서 온 관광객들로 채워져 있었다. 당시엔 관광지마다 불편한 점이 많았다. 그때 느낀 것은 여러 가지 불편에도 불구하고 관광코스가 ‘치명적 매력’으로 스토리텔링되어 있었다는 점이다. 지금도 어디선가 사이먼 앤드 가펑클의 노래 ‘철새는 날아가고’가 나오면 페루의 마추픽추로 가는 협궤열차를 그리워하게 된다.
우리도 풍부한 스토리들을 많이 갖고 있다. 그런 스토리들을 좀 더 감각적으로 만들고 각색하여 신비로움을 느끼게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관광지의 서비스 수준을 향상시켜 편리한 여행이 되도록 하는 것도 좋지만, 잊지 못할 코스를 개발한다거나 우리나라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것들을 만들어 내고 포장하는 것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다. 단기적인 관광수익 창출에만 연연하지 말고, 우리만의 것을 적극적으로 만들어 내고 개발해 나간다면 장기적으로는 더욱 큰 수익을 얻게 된다.
요즘 많은 사람들이 우리도 한류 등 고유의 문화를 수출할 수 있는 시대가 왔다는 것에 대해 놀라워한다. 서구의 문화를 보며 동경했던 과거를 생각하면 이게 과연 현실일까 믿어지지 않을 정도이다.
한류 문화를 더욱 크게 펼쳐 나가기 위해서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그리고 끊임없는 뒷받침이 필요하다. 아시아를 넘어 유럽으로 지평을 넓히고 있는 한류의 분위기를 수익창출로 이어지게 하려면 문화상품 개발과 언제나 가까이할 수 있는 한류관광 코스 개발 등이 좀 더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그래야만 오랫동안 우리의 문화를 알리고 수익도 낼 수 있을 것이다.
관광을 단순히 구경하고 체험한다는 차원으로만 생각해선 안 된다. 보다 넓은 의미로 보면, 관광객과 관광지의 두 문화가 상호교류하며 또 다른 문화를 만들어 가는 과정이 관광이다. 한류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우리 문화가 다른 나라의 이질적인 문화와 공유하고, 다시 우리나라로 들어와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내는 과정을 반복하며 독특한 문화로 재탄생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새로운 것은 늘 새롭게 있지 않다. 아무리 하찮은 것이라도 잘 가꾸고, 끊임없이 개발해 나가면 큰 자산으로 남는다. 이런 자산들이 모여 국내 관광의 성장에 큰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김정희 성신여대 조소과 교수
우리의 문화를 다양한 방법으로 분류하여 산업화할 수 있겠지만, 관광을 중심에 놓고 보자면 두 방향 정도에서 접근이 가능할 것이다. 바로 향토문화의 관광화와 한류문화의 관광화이다. 우리 향토문화의 관광화는 지금도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여러 나라를 여행한 경험에 비춰볼 때, 좀 더 체계적으로 개발하고 여러 형태의 패키지를 스토리텔링하여 상품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절감하게 된다.
오래전 남미를 여행할 기회가 있었다. 그때만 해도 우리나라 여행객은 거의 찾아볼 수 없었고, 대부분의 관광지는 일본이나 유럽에서 온 관광객들로 채워져 있었다. 당시엔 관광지마다 불편한 점이 많았다. 그때 느낀 것은 여러 가지 불편에도 불구하고 관광코스가 ‘치명적 매력’으로 스토리텔링되어 있었다는 점이다. 지금도 어디선가 사이먼 앤드 가펑클의 노래 ‘철새는 날아가고’가 나오면 페루의 마추픽추로 가는 협궤열차를 그리워하게 된다.
우리도 풍부한 스토리들을 많이 갖고 있다. 그런 스토리들을 좀 더 감각적으로 만들고 각색하여 신비로움을 느끼게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관광지의 서비스 수준을 향상시켜 편리한 여행이 되도록 하는 것도 좋지만, 잊지 못할 코스를 개발한다거나 우리나라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것들을 만들어 내고 포장하는 것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다. 단기적인 관광수익 창출에만 연연하지 말고, 우리만의 것을 적극적으로 만들어 내고 개발해 나간다면 장기적으로는 더욱 큰 수익을 얻게 된다.
요즘 많은 사람들이 우리도 한류 등 고유의 문화를 수출할 수 있는 시대가 왔다는 것에 대해 놀라워한다. 서구의 문화를 보며 동경했던 과거를 생각하면 이게 과연 현실일까 믿어지지 않을 정도이다.
한류 문화를 더욱 크게 펼쳐 나가기 위해서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그리고 끊임없는 뒷받침이 필요하다. 아시아를 넘어 유럽으로 지평을 넓히고 있는 한류의 분위기를 수익창출로 이어지게 하려면 문화상품 개발과 언제나 가까이할 수 있는 한류관광 코스 개발 등이 좀 더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그래야만 오랫동안 우리의 문화를 알리고 수익도 낼 수 있을 것이다.
관광을 단순히 구경하고 체험한다는 차원으로만 생각해선 안 된다. 보다 넓은 의미로 보면, 관광객과 관광지의 두 문화가 상호교류하며 또 다른 문화를 만들어 가는 과정이 관광이다. 한류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우리 문화가 다른 나라의 이질적인 문화와 공유하고, 다시 우리나라로 들어와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내는 과정을 반복하며 독특한 문화로 재탄생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새로운 것은 늘 새롭게 있지 않다. 아무리 하찮은 것이라도 잘 가꾸고, 끊임없이 개발해 나가면 큰 자산으로 남는다. 이런 자산들이 모여 국내 관광의 성장에 큰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2011-07-2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