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눈] 씁쓸한 김계관 취재전쟁/김상연 워싱턴특파원

[오늘의 눈] 씁쓸한 김계관 취재전쟁/김상연 워싱턴특파원

입력 2011-07-28 00:00
수정 2011-07-28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김상연 워싱턴 특파원
김상연 워싱턴 특파원
기자로 밥을 먹으면서 숱한 취재 현장을 누볐지만 이토록 격렬하게 몸싸움을 한 적은 없는 것 같다.

지난 26일 오후 3시 30분쯤(현지시간) 김계관 북한 외무성 제1부상이 나타날 때까지 미국 뉴욕의 JFK공항 입국장은 지극히 평온했다. 북·미 접촉을 위해 4년 4개월 만에 방미하는 김 부상을 기다리는 취재진은 한국 특파원과 일본 기자 등 20여명 정도밖에 안 돼 보였다. ‘그 흔한’ 방송 카메라도 보이지 않았다.

그런데 김 부상이 등장한 순간 어디에 잠복해 있었는지 모를 수많은 기자들이 굶주린 사자 떼처럼 일제히 김 부상한테 달려들었다. 가족을 마중 나온 양 딴청을 피우던 시민들이 알고 보니 외신 기자들이었고, 어디에 숨어 있었는지 모를 수많은 방송 카메라들이 ‘다연발로켓포’처럼 김 부상의 얼굴을 정조준했다.

김 부상은 취재진에 익사할 듯 “이렇게 하면 내가 말을 못 하잖아.”라며 휘청거렸고 공항 보안요원은 “물러나라.”고 소리쳤다. 하지만 취재진의 성난 질문 공세를 멈출 도리는 없었다.

100여명의 기자가 엉키다 보니 김 부상이 전진할 때 뒷걸음질치면서 엉덩방아를 찧거나 카메라에 머리를 부딪히는 사람도 있었다.

난생 처음 목도하는 광경에 놀란 미국인들이 “세상에!”(Oh My God)라고 내뱉는 탄성이 그 와중에 들렸지만, 기자들은 마치 이 순간을 놓치면 인생이 영원히 끝날 것처럼 필사적으로 김 부상에게 매달렸다. 보다 못한 신선호 주유엔 북한 대사가 거의 폭력 수준으로 거칠게 취재진을 밀어제쳤고, 몇몇 기자들이 나가떨어졌다. 그래도 취재진은 김 부상이 차에 오르는 최후의 순간까지 질문을 퍼부었다.

김 부상을 보내고 가쁜 숨을 정돈하고 난 뒤 갑자기 자괴감 같은 것이 엄습했다. 왜 우리는 서울도 아니고 평양도 아닌 남의 나라에서 몸싸움을 해야 할까. 이런 상념을 하다 가슴팍이 허전한 느낌에 내려다보니 셔츠 단추 하나가 떨어져 나가고 없었다.

carlos@seoul.co.kr

2011-07-28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