릭 루핀 사업·전 대원외고 교사
내가 만났던 몇몇 사람은 원인을 완화하려고 어떤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는 고통받을 필요가 없다. 지구 온난화의 영향을 줄일 방법이 있다. 나는 재직 중인 학교 수업에서 이러한 문제 중 일부를 해결하려고 했다. 수업 제목은 ‘지구를 살리는 방법’이었지만 많은 학생이 과정에 가입하지 않은 탓에 취소됐다.
전에 대원외고에서 가르쳤을 당시 학생들은 환경에 관한 이슈와 문제점들에 관한 글을 쓰는 데에 큰 호감을 보였다. 그러나 행동을 취할 때 실제로는 그 어떤 학생도 기꺼이 스스로 돈을 투자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실망했다. 어떠한 희생을 치르고서라도 미래의 재앙을 피하는 것은 고사하고, 세계를 더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들기 위한 일에 종사하려는 사람을 찾을 수 없었다.
그렇지만, 이런 젊은이들에게는 돈을 많이 벌어야 한다는 압박 외에 다른 여러 사회적 압박이 분명히 존재할 것으로 생각한다.
이것은 현대 사회가 직면하는 딜레마이다. 우리는 미래가 얼마나 위험한지와 비용을 잘 알고 있지만, 그것을 완화하고자 어떤 조치를 취하는 데 인색하다. 그냥 “더워, 더워”하고 “ 여름이 여름 같지 않고 겨울이 겨울 같지 않다.”라고 불평할 뿐이다. 그렇게 세상은 뒤집어질 것이다. 우리가 세상을 구하는 기술을 기다리는 동안 모두 겪게 될 일인지도 모른다. 잦은 홍수와 강한 태풍, 오랜 가뭄, 추운 겨울, 뜨거운 여름이 계속될 것이다. 그리고 더 많은 모기, 더 많은 열대 질병이 생길지도 모른다. 지구 온난화로 말미암은 환경 피난민들이 닥칠 전망이다.
한국은 방글라데시 혹은 다른 저지대 국가에서 온 사람들로 가득 찰 수도 있다. 환경 피난민들은 건조한 장소와 물과 일자리, 먹거리를 찾아 한국으로 몰려 올 것이다. 이것이 우리의 눈앞에 펼쳐질 미래이다.
2011-12-03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