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개혁 시대의 인문주의자 에라스무스는 어떤 욕을 먹어도 개의치 않았다. 어떤 때는 도리어 옆에 있는 친구가 흥분했다. “어째서 저런 욕설을 듣고도 가만히 있는가.”라고 반문했다. 에라스무스는 “바보가 현명함을 알 리가 없지. 그러니까 바보에게 욕설을 많이 받을수록 그만큼 현명한 거지. 성을 내기는커녕 명예라고 생각해야지.”라고 했다고 한다.
정반대로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러시아의 작가 막심 고리키는 “욕설은 한꺼번에 세 사람에게 상처를 준다. 욕을 먹는 사람, 욕을 전하는 사람, 그러나 가장 심하게 상처를 입는 자는 욕설을 퍼부은 그 사람 자신이다.”라고 말했다. “오죽해야 우리 동네에서 누굴 물론하고 그의 욕을 안 먹은 사람은 명이 짧다고 하겠는가. 조그만 아이들까지도 그를 돌려 세워놓고 욕필이(본명은 봉필이니까) 욕필이라고 손가락질을 할 만치 두루 인심을 잃었다.” 김유정의 봄봄에 나오는 욕 얘기다.
상대를 비하하고 무안을 주기 위한 행동이나 말로 통용되는 욕의 기원은 정확하지 않으나 주술적인 의미의 ‘저주’에서 시작됐다는 게 정설이다. 중국 쪽에 기원을 두고 있다는 얘기가 많다. 욕은 주로 남녀 또는 동물의 신체 부위와 비속어 등을 섞은 상스럽거나 거친 표현들이 대부분이지만 같은 욕이라도 애칭으로 쓰이거나 농담으로 쓰이고 있는 것도 적잖다. 국립국어원 등이 청소년을 대상으로 욕에 대해 조사해 보니, 10명 중 7명은 초등학교 때부터 욕설을 시작했는데 전체의 절반가량은 습관적으로 욕을 한다고 응답했다. 문제는 자기도 모르게 욕을 하다 보니 고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최근 욕설이 신체적 고통을 줄이는 단기적인 진통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관심을 끌었다. 영국 킬 대학 심리학과 리처드 스티븐스와 클라우디아 움란드 교수팀이 ‘고통연구 저널’에 실은 논문에서 평소 욕을 자주 하지 않는 사람을 대상으로 얼음물에 손을 담근 채 얼마나 버티는지를 측정했는데 평소에는 70초가량 버텼다. 그런데 욕을 하면서는 2배에 이르는 140초를 참았다는 것이다.
이명박 대통령의 부인 김윤옥 여사가 그제 강원 철원지역의 군부대를 방문한 자리에서 “대통령은 잘해도 욕 먹고, 못해도 욕 먹고…. 욕 먹는 게 기본 아니냐. 그래서 (저는) 그런 데 신경을 안 쓴다.”고 말했다. 욕의 순기능과 역기능을 알고 한 얘기일까. 욕 중에서도 ‘나쁜 욕’이 아닌 ‘착한 욕’쯤으로 생각한 듯하다. 욕을 하든 받든 중요한 건 마음먹기에 달렸다.
주병철 논설위원 bcjoo@seoul.co.kr
정반대로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러시아의 작가 막심 고리키는 “욕설은 한꺼번에 세 사람에게 상처를 준다. 욕을 먹는 사람, 욕을 전하는 사람, 그러나 가장 심하게 상처를 입는 자는 욕설을 퍼부은 그 사람 자신이다.”라고 말했다. “오죽해야 우리 동네에서 누굴 물론하고 그의 욕을 안 먹은 사람은 명이 짧다고 하겠는가. 조그만 아이들까지도 그를 돌려 세워놓고 욕필이(본명은 봉필이니까) 욕필이라고 손가락질을 할 만치 두루 인심을 잃었다.” 김유정의 봄봄에 나오는 욕 얘기다.
상대를 비하하고 무안을 주기 위한 행동이나 말로 통용되는 욕의 기원은 정확하지 않으나 주술적인 의미의 ‘저주’에서 시작됐다는 게 정설이다. 중국 쪽에 기원을 두고 있다는 얘기가 많다. 욕은 주로 남녀 또는 동물의 신체 부위와 비속어 등을 섞은 상스럽거나 거친 표현들이 대부분이지만 같은 욕이라도 애칭으로 쓰이거나 농담으로 쓰이고 있는 것도 적잖다. 국립국어원 등이 청소년을 대상으로 욕에 대해 조사해 보니, 10명 중 7명은 초등학교 때부터 욕설을 시작했는데 전체의 절반가량은 습관적으로 욕을 한다고 응답했다. 문제는 자기도 모르게 욕을 하다 보니 고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최근 욕설이 신체적 고통을 줄이는 단기적인 진통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관심을 끌었다. 영국 킬 대학 심리학과 리처드 스티븐스와 클라우디아 움란드 교수팀이 ‘고통연구 저널’에 실은 논문에서 평소 욕을 자주 하지 않는 사람을 대상으로 얼음물에 손을 담근 채 얼마나 버티는지를 측정했는데 평소에는 70초가량 버텼다. 그런데 욕을 하면서는 2배에 이르는 140초를 참았다는 것이다.
이명박 대통령의 부인 김윤옥 여사가 그제 강원 철원지역의 군부대를 방문한 자리에서 “대통령은 잘해도 욕 먹고, 못해도 욕 먹고…. 욕 먹는 게 기본 아니냐. 그래서 (저는) 그런 데 신경을 안 쓴다.”고 말했다. 욕의 순기능과 역기능을 알고 한 얘기일까. 욕 중에서도 ‘나쁜 욕’이 아닌 ‘착한 욕’쯤으로 생각한 듯하다. 욕을 하든 받든 중요한 건 마음먹기에 달렸다.
주병철 논설위원 bcjoo@seoul.co.kr
2011-12-1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