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판문점, 2012년 10월/이도운 논설위원

[씨줄날줄] 판문점, 2012년 10월/이도운 논설위원

입력 2012-10-25 00:00
수정 2012-10-25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 23일 오후 3시, 자유로를 거쳐 통일대교를 지난 뒤 판문점에 도착했다. 전날 탈북자단체의 대북 전단 살포를 둘러싸고 북과 남의 군 당국이 ‘임진각 타격’과 ‘도발원점 격멸’을 공언했기 때문에 저절로 긴장감이 밀려왔다. ‘자유의 집’ 앞에 서서 북측을 바라봤다. 묘한 적막감이 느껴졌다. 군사분계선 위에 세워진 군사정전위원회 본회의장(T-2) 주변에는 늘 그렇듯이 우리 측 공동경비구역(JSA) 헌병 5명이 부동자세로 북측을 응시하고 있었다. 북측에서는 통일각 계단 위의 인민군 하나가 짝다리를 짚고 서서 우리 측을 바라볼 뿐이었다. 다행인 것은, 한국군 헌병들은 관람객들이 올 때만 부동자세를 취한다는 것이다. 하루 종일 어떻게 그런 자세를 유지하겠는가.

자유의 집 안으로 들어가자, 유엔사령부 소속 미군 장교가 쩌렁쩌렁한 목소리로 외국인 관광단에게 남북 간의 대치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20명쯤 되어 보이는 관광객 한 사람 한 사람의 눈빛이 진지하다. 1년에 판문점을 찾는 관광객은 17만명. 15만명은 남측을 통해, 2만명은 북측을 통해서 온다.

자유의 집에 자리잡은 남북연락사무소는 이날도 오전 9시와 오후 4시에 북한 측과 의례적인 통화를 가졌다. 현 정부 들어 남북관계가 악화되면서 ‘회담 없는 연락’이 일상화된 지 오래다. 남북 간에 매설된 광케이블을 통해 30만이 넘는 회선이 설치됐지만 현재로서는 무용지물일 뿐이다.

도라산 전망대에 오르자 판문점을 넘어 개성공단과 개성시 등 북한 쪽의 모습이 한눈에 들어왔다. 현대식 공장과 건물이 들어선 개성공단에서는 오고 가는 차량을 쉽게 발견할 수 있었다. 5만명이 넘는 북한 노동자와 가족들 때문에 주변 마을도 커지고 있다. 사실상 ‘선전 마을’이었던 기정동과 금왕골에도 거주민이 수백명이나 늘었다고 한다. 개성을 둘러싼 송악산과 그 앞을 흐르는 사천강도 한눈에 들어왔다. 전날 비가 내렸기 때문에 시야가 툭 트이고 사물과 사람이 선명하게 보였다.

문득 눈을 왼쪽으로 돌려 서쪽을 바라봤다. 멀리 인천 송도가 보이고, 김포 신도시의 모습도 잡힐 듯하다. 시선이 남쪽으로 향하자 멀지 않은 곳에 웅장한 산이 보인다. 북한산이라고 한다. 판문점에서 개성까지 12㎞, 북한산까지의 거리도 40㎞. 남북이 충돌하면 공멸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것이 한눈에 들어온다. 귀가 닳도록 들어온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이라는 말 외에는 답이 없어 보인다.

이도운 논설위원 dawn@seoul.co.kr

2012-10-2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