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B급 문화에 열광하다/강태규 대중문화평론가

[문화마당] B급 문화에 열광하다/강태규 대중문화평론가

입력 2012-11-22 00:00
수정 2012-11-22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마디로 우리 대중문화는 B급 감성과 열애 중이다. 주류 문화의 식상함에 반발하는 대중이 늘고 있다는 방증이다. 세계 음악시장을 뒤흔든 싸이를 비롯해 영화, 문학 등 다양한 장르에서 대중의 인기는 폭발적이다. 최근 불어닥친 B급 문화에 대한 대중의 관심은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 왜 이런 만만한 콘텐츠 앞에서 우리가 열광하고 있는가, 열광해야 하는가.

이미지 확대
강태규 대중문화평론가
강태규 대중문화평론가
도대체 B급 문화라는 말이 어디서 나왔는가. 사회학적으로나 학문적으로 규명된 정의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B급 정서, B급 문화라는 말은 줄기차게 사용되어 왔다. 그 효시를 정확하게 포착할 수는 없지만 예술성이 배제된 대중문화 콘텐츠를 통칭해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08년 필자가 참여하고 있는 국내 유일의 문화전문 계간지 ‘쿨투라’가 ‘B급 정서, B급 문화’라는 제하의 특집 코너를 마련해 각계 문화 전문가들의 심도 있는 진단을 게재한 일례가 있다. B급 문화는 ‘B 영화’(B Picture)라는 용어에서 나왔다는 주장도 있다. 1930년대 할리우드 메이저 영화사가 스튜디오 시스템에서 가공할 만한 제작비로 만든 작품에 끼워 팔기 위해 만든 싸구려 영화를 말한다. 우리나라도 1980년대 동시상영관에서 상영된 B급 감성의 영화들은 인간 본연의 욕망과 솔직함을 무기로 대중의 관심을 끌었다. 문학계와 미술계에서는 저급문화를 키치(Kitsch)로 분류했다. 비주얼 중심의 대중문화 트렌드를 주축으로 B급 문화의 저변은 확산되고 있다. 인간의 욕구와 욕망을 기본 틀로 삼는 문화 트렌드라는 점에서 사회심리학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 심도 있는 논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작가가 선정한 오늘의 영화’에 선정된 ‘왕의 남자’ 이준익 감독은 창간호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주류가 비주류를 축출하고, 그들을 역사의 현장에서 밀어냈지만 예술은, 영화는 그 빼앗긴 영광을 되돌려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들(비주류)은 결코 실패자가 아니다. 결코 주류보다 불행하지도 않고, 주류에 비해 퇴행되어야 하고 없어져야 할 하등의 이유가 없다. 그것이 곧 문화의 의무이며 의미이다. 경제지표로 다 나타낼 수 없는 것들이 문화를 통해 발화된다. 그런 면에서 영화는 주류가 비주류를 부러워할 만한 근거를 제공해 준다.”

당시 이 감독의 인터뷰는 우리 사회가 언뜻 보기엔 주류가 이끌어 가는 것처럼 보이지만, 결코 주류의 힘이 아닌 비주류의 역동적 힘이 우리 사회를 이끌어 간다는 것을 제시하는 새로운 메시지로 들렸다. 그의 예언처럼 그동안 스포트라이트를 받아온 소위 주류 문화보다 비주류 문화에 대한 관심이 폭발했고, 이제 우리 문화를 주류와 비주류로 양분하기엔 그 경계가 모호해졌다.

사회적 통념을 벗어난 독특한 문화로 대변되는 B급 문화, 즉 비주류가 주류의 식상함을 밀어내고 대중 속으로 들어왔다. B급의 결과물로 대중을 흥분시킨 아티스트는 결코 B급이 아니라는 사실에 우리는 주목해야 한다. 싸이의 강남스타일 8분짜리 뮤직비디오 메이킹 필름을 보면, 철저하게 대중의 눈높이에 맞춰 진두지휘하는 그의 모습에서 결코 막 만든 결과물이 아니라, 대중 기호의 접점을 찾아내고 있는 흔적을 발견하게 된다. 그를 B급 아티스트라고 자신 있게 규정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대중이 B급 콘텐츠에 열광하게 만드는 아티스트는 어쩌면 대중성에 있어서 천부적 재능을 지녔을지 모른다. 미디어는 예상 밖의 결과가 나왔을 때 더욱 호들갑을 떨게 마련이다. 그래서 예상치 못한 콘텐츠가 뜻밖의 결과물을 내놓았을 때 더 큰 사건처럼 부풀려진다. 그러고 보면 A급 감성을 가진 노래도 세월을 견디며 대중에게 꾸준히 사랑받아 왔는데 말이다.

‘B급 문화’ 전성시대에서 대중문화에 급속도로 파고든 이 ‘B급 감성’이 이제 대중문화를 지탱하기 위해 없어서는 안 될 필수요소로 자리 잡은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 됐다. 주류가 비주류를, 혹은 비주류가 주류를 인정하고 껴안을 때 우리 대중문화의 확장은 담보되게 마련이다.

2012-11-2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