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수연 경제부 기자
최근 금융당국의 행보도 비슷한 전철을 밟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지난 3월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상생금융을 내걸고 4대 시중은행을 비롯한 금융권을 순회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은행의 고금리로 국민의 고통이 크다’며 대책 마련을 요구한 후 나온 행보였다. ‘지나친 이자 장사’로 돈을 많이 벌었으니 대출 금리를 내리라는 사실상 압박이었다. 관치 논란이 일었지만, 서민을 위해 이자를 내리라는 정부 요구에 대놓고 반기를 들 이는 없었다. 은행들은 일제히 가계대출 상품의 금리를 인하하는 대책을 쏟아냈다.
그러다 결국 탈이 났다. 당시 금리 인하가 가까스로 안정되던 가계부채 수요를 부채질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최근 금감원을 대상으로 한 국회 국정감사에서도 “이 원장의 상생금융 당부가 가계대출 증가를 불러일으켰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 원장은 “취약계층을 위한 배려를 부탁드렸을 뿐”이라고 항변했지만, 당시 은행들이 발표한 대출 금리 인하 대상에는 일반 고객을 대상으로 한 신규·대환 주택담보대출도 포함됐던 점을 부인할 수 없다. 게다가 최근엔 정반대로 금융당국이 은행들을 상대로 부채 관리를 위해 금리 인상을 압박하고 있다. 정부의 오락가락 행보에 피해를 보는 건 결국 서민이다.
금융시장은 라이선스 산업으로 관치를 피할 수는 없다. 정부는 소비자 보호와 경제 안정성을 위해 금융 시스템을 관리감독해야 할 책임을 갖고 있다. 은행들이 사실상 독과점 시장 안에서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은행에 대한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요구도 일견 온당해 보인다. 이를 일일이 규제 정책으로 다룰 수는 없으니 효율성 측면에서 관치가 필요할 수 있다. 다만 의도가 선하더라도 시장 원리를 거스르는 관치는 나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더군다나 위정자들의 선한 의도는 대개 ‘포장된 포퓰리즘’일 가능성이 크다.
로베스피에르의 시대는 결국 1년 7개월 만에 막을 내린다. 우유 가격 폭등이 결국 로베스피에르가 민심과 권력 둘 다 잃는 계기가 됐다는 점을 새겨둘 일이다.
2023-10-26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