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상일의 수학자의 시선] 박사학위 받고도 스트레스받는 이유

[엄상일의 수학자의 시선] 박사학위 받고도 스트레스받는 이유

입력 2019-12-16 22:38
수정 2019-12-17 02: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20여년 전 고등학교 시절, 박사 학위만 빨리 받으면 다 될 것처럼 생각했다. 당시 과학고에서는 고등학교 2학년을 마치고 과학기술원에 진학할 수 있었고 대학원에서는 전문연구요원제도로 병역까지 마친다면 ‘20대 박사’가 될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으며 공부를 했다.

그때는 막연히 ‘박사 학위를 20대에 빨리 받으면 좋지 않나’란 생각을 했었다. 요즘도 상담을 하다 보면 ‘20대 박사’가 되기 위해 조급하게 모든 것을 마치려고 애쓰는 학생을 종종 만난다.

산업 현장으로 가려고 한다면 하루라도 빨리 박사 학위를 받고 나가는 것이 이득이다. 하지만 연구자의 길을 가기로 마음먹었다면 빨리 마치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라는 것을 곧 깨닫게 된다.
엄상일 기초과학연구원 수리·계산과학연구단장
엄상일 기초과학연구원 수리·계산과학연구단장
학계에서 연구자를 평가할 때는 흔히 학계 나이, 박사 학위를 받은 지 몇 년이 지났는지를 두고 비교하는 경우가 많다. 박사 학위를 빨리 받으면 학계 나이만 더 많아지는 셈이다. 그래서 좀더 실력과 성과를 쌓은 후 졸업하려고 박사 학위 취득을 미루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학교 규정이나 지도교수의 사정 등 여러 이유로 그것도 마음대로 할 수 없는 노릇이다.

다른 자연과학 분야처럼 수학 분야에서도 박사 학위를 받고 나면 ‘포스트 닥터’(포닥)라 불리는 비정규직 박사후연구원 자리를 구하게 된다. 이 시기는 어쩌면 연구자의 인생에서 가장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때이다. 교수가 되고 나면 강의도 해야 하고, 학생 지도도 해야 하며 회의에도 불려 다니게 돼 연구에 몰입할 시간이 줄기 때문이다.

하지만 포닥 때는 수학자의 인생에서 가장 큰 스트레스를 받는 시기이기도 하다. 짧게는 1년, 길면 3년 정도 되는 포닥 계약 기간이 끝나면 전 세계 어느 도시로 떠나야 할지 알 수 없다. 포닥 기간 중에 지도교수의 품을 떠나서도 훌륭한 연구를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줘야 다음 직장을 잘 구할 수 있다.

함께하고 싶은 훌륭한 교수님이 있어도, 정작 그분의 연구비가 부족하거나 기간이 맞지 않아서 포닥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국내 수학분야 연구비는 대부분 한국연구재단 지원으로 받는데, 그 규모나 기간의 문제로 인해 미리 잘 계획하지 않으면 좋은 후보자를 발견하더라도 포닥으로 채용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지난 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1년부터 시작할 ‘세종과학 펠로십’ 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매년 우수한 포닥 200명을 선발해 인건비와 연구비를 합쳐 1억원씩 5년 동안 지원하고, 원하는 연구기관을 자유롭게 선택해 연구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정부가 신진 연구자 육성을 위한 사업을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11년 시작해 매년 10여명을 뽑던 ‘대통령 포닥 펠로십’ 사업이 있었지만 2년 전 중단됐다. 5년이라는 긴 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연구를 할 수 있게 해 주는 세종과학 펠로십 사업은 대통령 포닥 펠로십 사업의 전철을 밟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리고 제안하고 싶은 것이 하나 있다. 이 펠로십을 받은 사람이 전임 교원 채용 제의를 받은 경우, 희망에 따라 대학에서 교수 부임을 늦춰 주거나 부임 후 휴직이나 파견 처리해 연구에 더욱 몰입할 수 있도록 한다면 어떨까? 포닥 때 겪는 가장 큰 스트레스의 원인인 구직 걱정 없이 연구에 몰입할 수 있으니 더 좋은 연구 성과를 만들어 과학 발전에 기여하지 않을까.
2019-12-17 29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트럼프 당선...한국에는 득 혹은 실 ?
미국 대선에서 여론조사 결과를 뒤엎고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 됐습니다. 트럼프의 당선이 한국에게 득이 될 것인지 실이 될 것인지에 대해 말들이 많은데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득이 많다
실이 많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